건축가 김수근이 1960년대 한국 건축의 대표적 양식을 보여주는 이곳의 본관을 설계했다. 1967년 서울을 찾은 휴버트 험프리 미국 부통령은 선진국에서의 좋은 대우를 마다하고 귀국한 이곳의 과학자들을 보며 “세계 최초의 역(逆)두뇌유출 프로젝트”라고 표현했다. 1971년 인류 최초의 달 착륙 우주인 닐 암스트롱도 짧은 방한 일정 중 이곳을 찾았다. 대한민국 과학과 기술 발전의 기틀을 닦은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다.
▷한국의 베트남 파병을 계기로 미국과 한국 정부가 각각 1000만 달러씩 출연해 1966년 2월 4일 우리나라 최초의 과학기술종합연구소가 탄생했다. 변변한 건물도 없이 청계천 어물시장 옆 초라한 사무실에서 출범한 KIST. 이후 반세기에 걸쳐 철강 자동차 반도체 등 산업 성장의 심장부 역할을 했다. 그 KIST가 어제 창립 50주년 기념식에서 새로운 50년의 비전을 발표한 슬로건이 ‘KIST 2066, 기적을 넘어(Beyond MIRACLE)’다.
▷박정희 전 대통령과 KIST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박 전 대통령은 당시 농림부의 반대를 무릅쓰고 홍릉 임업시험장에 널찍하게 터를 마련해 주었다. 수시로 방문해 격려한 건 물론이고 KIST 예산만큼은 손대지 못하게 경제기획원에 엄명을 내리고 해외에서 모셔온 박사들이 대통령보다 더 많은 봉급을 받을 수 있게 해줬다. 교통 단속에 걸려도 연구원 신분증만 내밀면 통과될 만큼 KIST는 사회적 신망도 대단했다.
▷우리에게 ‘하버드대학의 공부벌레들’ 같은 드라마는 없지만 ‘KIST의 괴짜들’은 있었다. 과학인재 양성을 위한 한국과학원과 통합하면서 한때 카이스트로 이름을 바꿨는데 1999년 ‘카이스트’라는 드라마가 나왔다. 탤런트 이나영이 열연한 괴짜 소녀의 모델이 윤송이 엔씨소프트 사장이고, 괴짜 교수의 실제 모델인 이광형 교수는 최근 미래학회 초대 회장이 됐다. KIST는, 괴짜로 공부한 학생이 벤처를 키워내고 그 학생들을 길러낸 교수가 이제는 미래를 연구하는 모태였던 셈이다. KIST가 만들어낼 기적의 미래가 궁금해진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