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에서는 애플과 미국 연방수사국(FBI)의 대립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12월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 버나디노에서 무슬림 부부가 총기를 난사해 14명이 사망하는 사고 때문인데요.
FBI는 살해범의 아이폰 교신 내용을 파악하고자 했지만 잠금장치를 풀지 못해 수사가 난항에 빠졌습니다.
아이폰의 6자리 비밀번호 조합은 최대 조합 수는 568억 개에 이르며 5번 틀릴 경우 다시 입력하기 위해 1분을 기다려야 하고 9번을 틀리면 한 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등 최대 144년이 걸릴 수 있어 일일이 암호를 풀기는 불가능에 가깝죠.
FBI는 애플에 백도어를 제작해 이번 한 번만 사용한 뒤 향후 프로그램 보안을 책임져주겠다고 제안했으나 애플 CEO 팀 쿡은 “수십 년간 지켜온 보안 원칙이 무너질 수 있다. 백도어는 암과 같은 존재”라는 이유로 거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후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왓츠앱 등 거대 IT기업들은 FBI의 요구가 부당하다며 애플을 지지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맥의 소식을 전하는 나인투파이브맥은 아이폰의 보안을 강화하는 2가지 간단한 방법을 소개했습니다.
첫 번째 방법은 아이폰의 비밀번호 조합을 더 복잡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아이폰은 6자리 숫자 조합을 제시합니다. 나인투파이브맥은 “만약 애플의 시간제한 기능이 없다면 6자리 암호는 평균 11시간이면 풀 수 있다”며 “간단한 방법으로 암호를 12자리로 늘릴 경우 해독 시간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 1268년이 걸린다”고 설명했습니다.
만약 12자리 숫자도 충분하지 않다면 알파벳을 이용해 더 복잡한 암호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원하는 만큼 자릿수를 늘릴 수도 있죠. 매체는 “알파벳으로 복잡한 암호를 만들 경우 해독에 수 백만 년이 걸릴 수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암호 자릿수를 바꾸는 방법은 설정-Touch ID 및 암호-암호 변경-암호 옵션 항목에서 ‘사용자 지정 알파벳 숫자 코드’ 혹은 ‘사용자 지정 숫자 코드’를 선택하면 됩니다. 이 경우 암호 입력 화면에서 총 몇 자리인지도 표시되지 않아 더 안전합니다.
매체는 이어 “또 다른 방법으로 아이클라우드를 사용하지 않고 자료를 컴퓨터에 백업하는 편이 좋다”고 밝혔습니다.
먼저 설정-iCloud-저장 공간-저장 공간 관리-백업 항목에서 ‘백업 삭제’를 눌러 아이클라우드 내 데이터를 삭제합니다. 이후 아이폰을 컴퓨터와 연결해 아이튠즈 내의 백업-자동 백업 항목에서 ‘이 컴퓨터’와 ‘iPhone 백업 암호화’를 선택한 뒤 자료를 백업해두는 방식입니다.
끝으로 매체는 “애플은 아이클라우드 보안을 업그레이드 하겠다고 밝혔다.그럼에도 불구하고 해킹이 걱정된다면 이런 방법을 사용하길 바란다”고 전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