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초 미국 뉴욕 맨해튼의 심장부를 가로지르는 ‘아메리카 애비뉴’(Avenue of the Americas, 6th ave)에는 여름을 알리는 비가 내리고 있었다. 가장 혁신적인 경제전문 뉴미디어로 ‘쿼츠(Quartz)’의 본사는 아메리카 애비뉴와 21번가 교차점 근처에 있었다. 1902년 지어진 6층짜리 백화점 건물이 고풍스러웠다. 엘리베이터를 타고 4층 사무실로 올라갔다.
‘작업장(Workshop).’ 벽에 붙은 단어가 먼저 눈에 띄었다. 왜 작업장인지는 설명을 듣지 않아도 알 수 있었다. 한 층이 뻥 뚫린 ‘거대한 원룸’ 곳곳에 직원들이 모여 ‘작업’ 중이었기 때문이다. 근무 공간 사이사이에 회의실과 휴식 공간, 실험실이 혼재된 모습이 독특했다. 실험실 구석에는 3D프린터를 비롯해, 용도를 알 수 없는 톱과 전기 드릴, 전기 기타가 놓여 있었다.
“지난해 2월에 이 곳으로 이사 왔습니다. 멋지죠?” 케빈 딜레이니 쿼츠 편집장(45)이 기자에게 다가와 말을 걸었다. 그는 인터뷰 장소로 기자를 안내했다. 식당 겸 화상 회의실이었다. 오후 2시가 다 된 시각임에도 직원들이 많았다. 인터뷰를 식당에서 하자는 편집장에게 놀랐지만, 편집장이 인터뷰를 하는 바로 옆에서 태연하게 식사를 즐기는 직원들의 모습은 더 놀라웠다. 딜레이니 편집장은 주변에 아랑곳 않고 진지하게 대화를 이어나갔다.
○콘텐츠 집중이 통했다
올해 9월 24일 쿼츠는 5번째 생일을 맞았다. 지난 5년 동안 쿼츠는 경제 분야에서 가장 성공한 미디어로 자리를 잡았다.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매달 1억 명이 넘는 사람들이 쿼츠를 방문한다. 쿼츠 홈페이지를 찾아 들어오는 사람도 지난 8월 기준으로 2200만 명이 넘었다. 파이낸셜타임스(FT), 이코노미스트 같은 기존 경제 매체들을 크게 앞서는 수치다. (영국 옥스퍼드대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 루시 큉(Lucy K¤ng) 연구원이 2015년 출간한 ‘디지털뉴스의 혁신’에 따르면) 설립 당시 380만 달러(약 43억 원)였던 매출은 4년 동안 10배 가량 증가했다. 올해도 3000만 달러(약 338억 원) 이상일 전망이다.
딜레이니 편집장은 쿼츠가 성공한 비결을 “남들보다 빠르게 모바일을 시작하고, 깊이 있는 뉴스에 집중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쿼츠는 PC 페이자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없이 모바일 웹으로만 시작했다. 또 모바일 독자들이 편히 볼 수 있도록 기사를 500단어 이하로 축약했다. 여기에 기사 내용을 한 눈에 보여주는 차트를 더했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와 같은 기존 매체의 카테고리를 따르지 않고 독자가 흥미를 느낄 주제를 선별해 이슈 중심으로 기사를 작성했다. 이른바 ‘옵세션(obsession)’ 기능이다. 쿼츠는 페이스북, 트위터 등 소셜미디어를 운영하면서도 진지한 옵세션 콘텐츠를 손에서 놓지 않았다.
쿼츠는 이런 옵세션 기능을 확장해 뉴스 레터 서비스를 강화하겠다는 계획을 최근 발표했다. 기존에 운영하던 ‘데일리 브리프(Daily brief)’에 ‘쿼츠 옵세션(Quartz Obsession)’이라는 새로운 항목을 추가로 운영하기로 한 것이다. 쿼츠 옵세션은 지루한 오후 시간대에 뿌려진다. 독자가 흥미를 느낄 만한, 또 관심을 가지면 좋을 하나의 주제로 기사를 제공한다. 딜레이니 편집장은 “옵세션을 정하기 위해 5개 이상의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며 “매체별로 전담 기자가 실시간 트래픽과 독자의 연령대, 관심 이슈, 소셜미디어 유입 정도를 파악해 옵세션을 조정한다”고 설명했다. 그 역시 컴스코어(comScore), 입소스(Ipsos), 파슬리(Parsely), 차트비트(Chartbeat), 구글 애널리틱스 같은 데이터 분석 회사와 도구 이름을 줄줄 꿰고 있었다.
성공 여부는 좀 더 지켜봐야겠지만 늘 새로운 시도를 하던 쿼츠가 뉴스 레터 같은 과거의 형식으로 되돌아가는 이유가 궁금했다. 딜레이니 편집장은 “오래된 것이 전부 가치가 없는 것은 아니다”라며 “뉴스 레터든, 팟캐스트든 그것을 제대로 살릴 수 있는 미디어가 그동안 없었을 뿐”이라고 답했다.
○AI로 또 한 번의 디지털 혁신
쿼츠는 창간 이후 꾸준히 기술을 활용한 혁신적인 결과물을 내왔다. 2015년 6월에는 차트 공유 플랫폼 ‘아틀라스(Atlas)’를 공개했다. 2016년 2월에는 대화형 뉴스 어플리케이션, 2016년 7월에는 각종 경제 지표를 도표로 보여주는 ‘인덱스’ 등이 나왔다.
창립 5주년을 맞은 쿼츠는 이제 인공지능(AI)에 주목하고 있다. 딜레이니 편집장은 스마트폰을 집어 들고 “미래의 저널리즘 환경에서는 스마트폰으로 뉴스를 얻는 방법도 많이 달라질 것”이라며 “아마존의 ‘알렉사’처럼 음성 인식이 가능한 인공지능이 뉴스를 전달하는 시대가 멀지 않았다”고 전망했다.
여기에 대한 준비로 쿼츠도 지난해 말 사내에 ‘봇 스튜디오’를 차리고 쿼츠의 뉴스를 읽어줄 인공지능 브라이언(Brian)과 켄드라(Kendra)를 개발하고 있다. 이들은 단순히 뉴스를 읽어주는 것뿐만 아니라 뉴스를 주제로 사람과 대화를 나눌 수도 있도록 설계됐다.
쿼츠는 10월 3일 기자와 편집자, 뉴스 제작자가 유용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쿽봇(Quackbot)’도 출시했다. 플랫폼은 ‘도큐멘트 클라우드(DocumentCloud)’를 이용했다. 도큐멘트 클라우드는 언론사가 자료를 공유하고 궁극적으로 기사를 게시할 수 있는 오픈 소스 플랫폼이다. 기자들이 자료를 PDF 파일로 업로드하면 텍스트와 차트를 추출하고 인터넷을 연결해 새로운 차트를 만들어 준다.
쿽봇은 여기에 간단한 인공지능을 더했다. ¤봇을 사용하면 모든 웹페이지의 스크릿샷을 찍을 수 있고, 열어 본 페이지이 사본 URL이 보존된다. 기사의 주제가 주어지면 신뢰할 수 있는 소스 데이터를 찾아주기도 한다. 또 쿽봇에 기사의 URL을 올리면 인공지능이 기사 속 진부한 표현을 가려낸다.
쿼츠는 최근 세 개의 동영상 시리즈도 야심차게 내놨다. ‘인 더 딥(In the Deep)’ ‘레트로 리포츠(Retro Report)’ ‘온 더 에지(On the Edge)’가 바로 그것이다. 각각 깊은 바다의 신비, 혁신 기술과 그 의미, 전세계 미개척 지역의 모습을 담았다. 동영상은 쿼츠 홈페이지뿐만 아니라 페이스북, 유투브 플랫폼을 통해서 배포된다. 현재 쿼츠에는 동영상을 전담으로 제작하는 팀이 있고, 직원 9명으로 구성돼 있다. 2015년 4월부터 시범적으로 페이스북에 콘텐츠를 올렸는데 현재 누적 조회수가 9억4000만 뷰가 넘는다.
‘기술이 저널리즘을 이끄는 구도’를 쿼츠는 영리하게 활용하고 있었다. 저널리즘이 기술에 끌려갈 수 있다는 세간의 우려에 대해, 16년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서 기자와 온라인 에디터로 일했던 딜레이니 편집장의 생각은 달랐다. “저는 두렵지 않습니다. 오히려 흥분되고 신납니다. 새로운 기술은 독자들에게 다가갈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해줄 것이고, 이것으로 저널리즘은 오히려 더 본질에 가까워질 것입니다.”
쿼츠는 AI 등 첨단 기술과 가장 거리가 멀 것 같은 오프라인 책을 지난 9월 처음으로 출간했다. 쿼츠는 홈페이지 글을 통해 “디지털 시대에도 인쇄물은 여전히 차트나 시각적 스토리텔링을 즐기기에 가장 유리한 매체”라고 소개했다. 저널리즘이 기술에 끌려가는 것이 아니라, 필요할 때 기술을 활용하는 것이란 그의 말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수익의 90%는 네이티브애드로
“독자의 70%가 모바일 기기로 콘텐츠 접하고, 독자 40%가 미국 외 지역에서 접속합니다. 그들은 40대가 가장 많고 52%가 여성입니다.” 딜레이니 편집장은 쿼츠의 이 같은 타깃 독자를 한 마디로 “글로벌 비즈니스 프로페셔널”이라고 정의했다.
많은 미디어 스타트업들이 밀레니얼 세대를 잡기 위해 노력하지만 쿼츠의 전략은 달랐다. 독자를 나이로 한정하지 않겠다는 것(물론 전통적인 비즈니스 뉴스에 60대 독자들이 가장 많은 것과 비교하면 쿼츠의 독자가 젊긴 하다). 대신 의사 결정자이며 기술을 잘 이해하는 전문적인 경제인에 주목했다.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로도 눈을 돌렸다. 인도, 아프리카 등에 지사를 세워 현지인 출신 기자를 고용해 현지의 이야기를 생산했다. 그 결과 인도에서는 지난 7월 처음으로 독자 수가 200만 명을 넘었다. 딜레이니 편집장은 “미국 내에서는 비즈니스 뉴스의 경쟁이 매우 치열한데, 우리는 그것을 피해 전세계에서 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독자층이 광고주에게도 굉장히 매력적으로 어필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광고는 쿼츠의 가장 중요한 비즈니스 모델이다. 쿼츠는 지난해 수익의 90%를 네이티브 애드로 창출했다. “쿼츠의 네이티브 애드에는 두 가지 원칙이 있습니다. 첫째는 저널리스트를 절대로 광고 일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 둘째는 광고 주체를 분명히 알리는 것입니다. 광고 기사가 마치 뉴스룸에서 생산된 것처럼 독자들을 속이고 싶지 않습니다.”
딜레이니 편집장은 “직접 보여주겠다”며 스마트폰을 열었다. 화면에 쉐브론(Chevron)이라는 미국의 국제석유기업 이름이 보였다. 이름은 마치 하나의 옵세션 주제처럼 편집돼 있었다. 이름을 클릭하자 에너지와 관련된 기사가 여러 개 떴다. 기사를 열고 들어갈 때마다 좌측 상단에는 쉐브론의 로고가 찍혀 있었다.
쿼츠는 직원이 200명 정도 되는데 이중 100명이 기자 등저널리스트, 80명이 마케팅, 영업, 홍보팀이다. 신기하게도 기자와 영업팀은 사무실 내에서도 물리적으로도 가장 멀리 떨어져 있었다. 출입문으로 들어가면 정면에 보이는 실험실을 기준으로 오른쪽과 왼쪽으로 아예 나뉘어 있었다.
나머지 25명 정도는 개발, 디자인 인력이다. 하지만 딜레이니 편집장은 저널리스트 중 상당수가 기사를 쓰면서 프로그램 개발, 디자인 업무도 동시에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쿼츠에서는 뉴스가 어떻게 운영돼야만 한다는 가정이 없기 때문이다. 차트, 인덱스, 옵세션 업무가 모두 기사 쓰는 일의 연장이다. 그러기 위해 기자가 직접 해당 소프트웨어를 다룰 수 있어야 한다.
어떻게 하면 한국 언론이 이런 디지털 혁신을 벤치마킹할 수 있을까.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는 어떻게 바뀌어 나갈까. 이어지는 질문에 딜레이니 편집장은 “해줄 말이 없다”며 난감해했다. 지난해 서울을 방문해보니 한국 기자들은 이미 디지털 혁신이 무엇인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잘 알고 있더라는 것이다. 첨단 모바일 기술에 익숙한 문화 덕분일 것이라고 그는 추정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신이 한국의 기자라면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어떤 뉴스를 만들 것인지 재차 물었다. 그는 한 가지를 이야기했다.
“미래에는 뉴스와 독자의 소통이 매우 지속적이고 다양해질 겁니다. 음성이 될 수도 있고, 채팅이 될 수도 있겠죠. 내가 한국의 기자라면 독자들이 이런 첨단 디지털 기술을 아주 잘 사용한다는 어드밴티지를 적극 이용할 겁니다.”
미 뉴욕 맨해튼의 쿼츠 본사 모습
뉴욕=이영혜 동아사이언스기자yhlee@donga.com
QR코드를 스캔하면 ‘세계의 뉴미디어를 가다’ 인터랙티브 사이트(interactive.donga.com/newmedia)로 이동합니다. 각국 뉴미디어를 취재하며 촬영한 생생한 인터뷰 동영상, 사진, 각종 모바일 전용 콘텐츠를 즐길 수 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