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전국적으로 봄비가 내리면서 미세먼지는 ‘좋음’ 또는 ‘보통’ 수준이지만, 비가 그치는 내일(15일)은 다시 ‘나쁨’ 수준을 보일 전망이다. 올봄은 많은 가정이 ‘미세먼지’ 아니면 ‘비’로 주말 내내 집안에 갇혀 지내는 신세가 됐다. 주말이면 나들이 계획을 짜기 전 미세먼지부터 체크하는 것이 필수가 됐다. 일상이 미세먼지와의 전쟁터가 되면서 이 문제를 해결할 방안은 국내 최대의 과제가 됐다.
미세먼지의 주요 원인으로는 중국 쪽에서 오는 외부 요인과 국내의 환경적 요인이 거론된다. 기상 상황이나 조사 여건에 따라 어느 쪽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 논쟁이지만 여러 전문가는 후진국에서 선진국으로 갈수록 공기의 질은 좋아진다는 점에서 내부요인이라도 줄이는 데 힘을 쏟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정부는 지난달 27일부터 환경 기준을 선진국 수준으로 대폭 강화했다. 초미세먼지 나쁨 등급을 51 → 36 μg/m3 으로, 매우 나쁨 등급은 101 → 76 μg/m3 으로 상향 조정한 것이다. 이는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과 비슷한 수준이다. 미세먼지 농도 기준이 높아지면 공공부문 외 민간 사업장까지 자율적으로 단축 운영에 나서 대기오염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는 게 환경부의 기대다.
특히 자동차의 도로 정체는 대기오염은 물론, 많은 에너지 손실을 안긴다는 점에서 우선 시행 가능한 과제로 지목된다. 지방자치단체들은 공공기관 차량 2부제 시행 등의 자동차 운행 줄이기를 시도하고 있고 시민들에게도 적극 참여를 권하고 있다. 외국의 여러 도시들도 카풀레인(carpool lane·다인승 전용 차선)등을 통한 차량 운행 효용성 제고와 대기오염 감축을 유도해 왔다.
이 같은 흐름은 결국 친환경 이동수단 대중화를 앞당길 것으로 보인다. 전기 교통수단은 수십 년 전부터 미래 도시를 그린 SF영화에 단골 소재로 등장했지만 여전히 지금의 도시풍경은 영화 같지 않다. 1인이 5인용 또는 그 이상의 자동차를 몰고 출근하느라 교통정체에 시달리는 모습은 이를 데 없이 비효율적인 풍경이다.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세계 각국의 배출가스 규제는 앞으로 전기 이동수단 대중화에 가속 페달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일례로 미국 캘리포니아 주 산타모니카(Santa Monica)시는 스마트모빌리티(Smart Mobility 1~2인승 전기 이동수단)를 대기오염을 감소하는 하나의 대안으로 수용하는 자세를 적극 취하고 있다. 이른바 ‘밀레니얼’세대(millenials·1982~2000년 사이에 태어난 세대)에게 크게 어필하는 스마트모빌리티는 휴대하기 편리하고 배기가스가 발생하지 않으며, 정체로 소모하는 시간도 줄어 차세대 출퇴근 수단으로 꼽힌다. 산타모니카에는 지난해 9월부터 세계 최초로 전기 스쿠터 공유 서비스가 등장해 폭발적 인기를 누리고 있다. 공유업체는 매일 출퇴근 시간에 맞춰 시의 주요 회사 근처에 통근자를 위한 전기 스쿠터를 배치해주고 있다. 현재 베니스, 로스앤젤레스, 샌디에이고 등으로 확대됐으며, 올해 말까지 수십 개 도시로 확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콘스탄스 파렐 (Constance Farrell) 산타모니카 시 대변인은 최근 CNN과의 인터뷰에서 “산타모니카 시는 전동 스쿠터가 계속해서 운영되기를 희망한다. 이는 대기오염을 줄이는 다양한 교통수단을 모색하고 있는 시의 대기 공해 절감 중점 정책에 부합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국내에서도 친환경 기반의 미래 교통수단 보급이 탄력 받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는 올 한해 신형 전기 이동수단의 기술력을 겨룰 경연장이 될 전망이다. 작년까지 서울시 주관으로 하반기 열렸던 'EV(전기 이동차) 서울'은 환경부 주최로 바뀌면서 시기가 앞당겨지고 규모가 커졌다. 현재(4월 12~15일)도 ‘2018 스마트 퍼스널 모빌리티쇼’와 ‘EV 트렌드 코리아’가 동시에 열리고 있다. 국내 스마트모빌리티 1위 업체인 유로휠의 김태훈 대표는 “그동안 일부 마니아층의 취미로만 여겨졌던 전동킥보드·전동휠·전동보드 등이 다양한 대안 개인 이동교통수단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이러한 친환경적 개인 이동 교통수단이 소위 착한소비와 다양성, 재미를 추구하는 밀레니얼들의 성향과 맞물려 시장이 더욱 확장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해외 친환경 도시들의 사례와 같이 지자체와 업체, 대학들이 협업해 대기오염원을 줄이는 데 동참할 수 있는 친환경 운송수단이 국내에서도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