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암세포의 면역세포 억제 핵심 원리를 규명했다.
KAIST(총장 신성철)는 의과학대학원 신의철 교수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민병소·김호근 교수 공동 연구팀이 암 환자의 암세포가 면역세포를 억제해 면역반응을 회피하게 만드는 핵심 원리를 발견했다고 13일 밝혔다.
암 환자는 암세포에 대항하는 면역세포, 특히 T세포의 기능이 현저히 약해져 있다. 이렇게 T세포의 기능이 약해지는 주된 원인은 T세포가 PD-1이라는 억제 수용체를 과다하게 발현하기 때문이다.
최근 유행하고 있는 면역항암제도 바로 이 PD-1 억제 수용체의 기능을 차단해 T세포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원리로 작동하는 것이다.
하지만 면역항암제는 아직 부족한 부분이 많아 투여 받은 암 환자 중 일부에게만 치료 반응이 나타나는 게 한계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연구자가 암 환자의 T세포 기능이 약해지는 다른 이유를 활발히 찾고 있다.
연구팀은 혈관 형성 인자로만 알려졌던 혈관내피성장인자(VEGF)가 암세포에 대항하는 T세포의 기능을 약하게 만드는 주요 원인임을 새롭게 밝혔다.
혈관내피성장인자가 혈관 형성 외에도 T세포 억제라는 중요한 작용을 통해 암의 성장을 돕는다.
암세포에서 생성된 혈관내피성장인자는 암세포에 대항하는 T세포 표면에 발현하는 수용체에 결합해 T세포에 톡스(TOX)라 불리는 단백질의 발현을 유도하고, 톡스는 T세포의 기능을 억제·약화하는 유전자 발현 프로그램을 작동시킨다는 것이 이번 연구의 핵심이다.
연구팀은 또 암 환자의 면역항암제 치료 효율을 높이는 전략을 제시했다.
암 성장을 막을 목적으로 혈관내피성장인자 저해제가 이미 개발됐기 때문에 연구팀이 새로 발견한 혈관내피성장인자의 T세포 기능 억제 작용을 근거로 혈관내피성장인자 저해제를 면역항암제와 함께 사용한다면 치료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면역항암제와 혈관내피성장인자 저해제를 병합 치료하면 우수한 항암 효과가 있음을 동물 모델에서 증명했다.
신 교수는 “암세포와 면역세포 사이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를 상세히 연구함으로써 임상 치료 전략을 제시하게 된 중요한 연구”라며 “향후 암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면역기전 연구 및 면역항암제 개발 연구를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이번 연구 결과는 면역학 분야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면역학(Science Immunology)’ 온라인 판에 지난 8일 게재됐다.
(대전=뉴스1)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