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가 아직 없는 가운데 한국 바이오 벤처 기업이 개발 중인 한 물질이 코로나19를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약은 원래 당뇨 합병증 치료제 후보물질로 개발돼 이미 안전성(약물 독성)을 확인하는 임상 1상을 마친 상태여서 곧바로 코로나19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2상을 실시해 약효와 적정 투약량을 확인한다는 계획이다.
압타바이오는 자사가 개발 중인 녹스(NOX) 단백질 저해제 후보물질인 ‘APX-115’가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인체세포 실험을 통해 확인했다고 13일 밝혔다. 녹스는 세균이나 바이러스로부터 “을 방어하는 등 다양한 체내 생리활동에 관여하는 산화효소로 체내에 7종이 있다.
압타바이오에 따르면 APX-115는 두 가지 녹스의 활성을 조절해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증식을 막을 수 있다. 먼저 바이러스가 인체 세포에 침투하기 위해 사용하는 세포내기관인 엔도솜 안에서 바이러스 복제를 활성화시키는 녹스2를 억제해 바이러스의 증식을 막는다. 또 코로나19의 주요 증세인 급성 폐렴과 섬유화에 관여하는 녹스4를 막아 증상을 치료한다.
문성환 압타바이오 사장은 ”인체세포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유력한 치료제 후보물질로 꼽히는 ‘렘데시비르’의 3분의 1 수준으로 바이러스 억제 효과가 있고, 쥐 대상 실험에선 폐 세포 손상을 줄이는 치료 효과도 확인했다“며 ”이탈리아에서 임상 2상을 우선 추진한다“고 했다. 이 회사는 한국에서도 코로나19 치료제 신속심사 가이드라인이 정해지면 바로 약효와 적정 투약량을 확인하는 임상 2상을 추진할 계획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