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관측 가능 별’ 2034개… 그 안에 외계문명도 있을까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6월 28일 03시 00분


코멘트
지구에서 우리가 별을 관측하듯 반대로 지구를 발견할 수 있는 별은 얼마나 될까. 인류문명과 비슷한 수준의 천문관측 기술을 가진 외계문명이 있다면 지구를 관측할 수 있는 별이 2034개에 이른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리자 칼테네거 미국 코넬대 천문학부 교수는 지구에서 문명이 발생한 5000년 전부터 현재까지 1715개 별(항성)이 지구를 발견할 수 있었고 앞으로 5000년간 추가로 지구를 찾아낼 위치에 있는 별이 319개에 이른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23일 발표했다.

천문학자들은 태양과 같은 항성 주위를 도는 행성을 찾는 데 별빛을 활용한다. 행성이 항성 주위를 돌다가 항성을 가리면 순간적으로 별빛이 어두워지는데 이 현상을 통해 행성 존재를 파악하는 원리다. 과학자들은 326광년(1광년은 빛이 1년간 날아가는 거리) 이내에서만 항성이 행성에 가려 빛을 잃는 현상이 관측된다고 보고 있다.

연구팀은 유럽우주국(ESA)의 은하관측 위성 ‘가이아’가 지난해 12월 공개한 우리은하 내 항성 목록 ‘EDR3’에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별을 찾아냈다. EDR3에 등록된 항성은 18억 개, 이 중 지구에서 326광년 이내에 있는 별은 33만1312개로 추산된다. 연구팀은 다시 이 중에서 인류 문명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행성을 가진 별의 숫자를 헤아리기 위해 지구 시간으로 현재부터 5000년 전부터 앞으로 5000년 뒤까지 326광년 내에 있는 별 2034개를 추려냈다. 지구와 비슷한 과학기술 수준을 갖고 있다고 가정했다.

연구진은 기존 연구결과 등을 참고해 이 가운데 7개의 별에서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압축했다. 예를 들어 지구에서 11광년 떨어진 ‘로스128’은 외계 문명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지구형 행성’을 보유한 가장 가까운 별로 분석됐다. 이 별 주변에는 지구보다 1.8배 큰 행성이 돌고 있다. 이곳에 높은 문명을 가진 생명체가 살고 있다면 지구 시간으로 기원전 1036년부터 기원후 1121년 사이에 지구가 태양을 통과하는 것을 지켜봤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지금까지 천문 연구는 지구에서 우주를 바라보는 시각에서 이뤄져왔다. 하지만 이번 연구는 역으로 먼 우주의 존재가 같은 방식으로 지구의 존재를 찾아 나설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칼테네거 교수는 “이들 별은 우주라는 거대한 극장의 가장 앞좌석에 앉아 인류를 지켜보고 있는 것과 같다”며 “인류가 우주를 탐색하는 계획을 세우듯 태양계 너머에서도 누군가 인류를 찾아 나설 계획을 세울 수 있다는 상상이 얼마든지 가능하다”고 말했다.

#지구관측 별#외계문명#항성#행성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