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백신으로 인류를 구한 과학자들, 올해 노벨상 받을 수 있을까?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9월 27일 03시 00분


코멘트

커털린 커리코-드루 와이스먼, mRNA 핵심 기술 연구로 ‘주목’
신속한 백신 개발에 지대한 공헌
英 케임브리지대 화학과 교수팀, NGS 기술로 유전체 해독에 도움
과학계 일각 “시기상조” 의견도…“변이-부작용 등 추가 분석 필요”

드루 와이스먼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의대 교수(오른쪽)와 커털린 커리코 독일 바이오엔테크 수석부사장. 오른쪽 사진은 서울 노원구민체육센터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진행되는 모습. 펜실베이니아대 의대 제공·동아일보DB
드루 와이스먼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의대 교수(오른쪽)와 커털린 커리코 독일 바이오엔테크 수석부사장. 오른쪽 사진은 서울 노원구민체육센터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진행되는 모습. 펜실베이니아대 의대 제공·동아일보DB
올해 노벨상 수상자가 내달 4일 생리의학상을 시작으로 5일 물리학상, 6일 화학상, 7일 문학상, 8일 평화상, 11일 경제학상 등의 순서로 발표된다.

매년 노벨상 수상자 발표에 앞서 수상 후보나 분야에 대한 예측이 이어지지만 적중률은 높지 않다. 해외에서는 노벨상 후보를 놓고 확률 게임을 벌이기도 한다. 하지만 올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대항해 인류를 구원한 백신을 전례 없는 속도로 개발할 수 있도록 이바지한 과학자들의 수상 가능성이 어느 때보다 높게 점쳐지고 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유전체를 재빨리 분석하고 변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게 한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 기술 개발자들과 코로나19 감염 예방 효과가 약 94%에 이르는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을 신속하게 개발한 과학자들이 유력 후보로 꼽힌다.

○ 1년 안 돼 mRNA 백신 개발한 과학자들 주목
커털린 커리코 독일 바이오엔테크 수석부사장과 드루 와이스먼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의대 교수는 mRNA 백신의 기초 기술을 개발했다. 바이오엔테크가 미국 제약사 화이자와 공동 개발한 이 백신은 mRNA에 담긴 바이러스 유전자를 지질나노입자에 실어 사람 세포 안에 넣어 면역반응을 끌어내는 원리다.

헝가리 이민자 출신인 커리코 부사장은 과거 40년 가까이 mRNA를 세포로 넣어 면역계가 인식하게 하는 연구에만 매진한 것으로 유명하다. 2005년에야 와이스먼 교수와 공동으로 국제학술지 ‘면역’에 실은 논문으로 학계에서 처음 관심을 받았다. DNA와 RNA로 어떻게 포유류의 선천면역계를 자극해 면역반응을 유도하는지에 대한 내용으로 mRNA 백신의 가장 중요한 핵심이다.

또 커리코 부사장은 mRNA 기반 백신과 치료제를 만들기 위해 몸속에서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도록 뉴클레오사이드를 수정하는 기술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 이 특허는 그가 2014년부터 합류한 바이오엔테크와 공동 개발한 화이자, 그리고 경쟁사인 모더나가 재빨리 코로나19 백신을 만드는 데 주요 역할을 했다.

커리코 부사장과 와이스먼 교수는 2월 로젠스틸상, 8월 호위츠상에 이어 이달 9일 실리콘 밸리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2022 브레이크스루상’까지 거머쥐었다. 이들 상은 역대 노벨상 수상자 중 대다수가 받았다는 점에서 두 사람의 수상 가능성이 더욱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 코로나바이러스 게놈 고속 스캔 기술도 후보군
영국 케임브리지대 화학과 소속 샹카르 발라수브라마니안 교수와 데이비드 클레너먼 교수도 유전체의 염기서열을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하게 해독할 수 있는 NGS 기술을 개발해 유력한 후보로 거론된다.

2000년대 초 사람 한 명의 유전체를 해독하려면 30억 달러(약 3조 5520억 원)가 들었고 시간도 15년이 걸렸다. 하지만 NGS가 개발되면서 이제는 600달러(약 71만 원)로 단 1시간 만에 한 사람의 유전 정보를 모두 해석할 수 있는 시대가 됐다. 이 기술 덕분에 코로나19 바이러스 유전체가 불과 한 달여 만에 신속하게 분석됐고 이를 기반으로 백신 개발이 조기에 착수됐다. 현재는 시시각각 등장하는 새로운 변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물론 과학계 일각에서는 이들이 노벨상을 받기엔 아직 이르다는 의견도 있다. 코로나19 대유행이 아직 끝나지 않은 데다 변이 바이러스의 등장으로 백신 효과가 다소 떨어졌고, 면역력 지속 기간과 접종 후 부작용에 대해 아직 좀 더 과학적 분석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002년부터 노벨상 수상자를 예측해 온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 산하 ISI의 피인용 연구전문가 데이비드 펜들버리는 영국의 글로벌 대학평가기관인 ‘타임스고등교육’과의 인터뷰에서 “노벨상은 대개 성과를 인정하기까지 20년 이상 걸릴 만큼 보수적”이라며 “코로나19 백신의 효과와 안전성도 장기간 입증돼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들 외에도 아직 노벨상을 받을 만한 업적을 쌓은 과학자들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는 23일 노벨상을 수상할 만한 전 세계 상위 0.01% 피인용 우수 연구자 16명의 명단을 공개했는데 이 가운데 생리의학 분야는 5명이다. 지금까지 이 명단에 오른 연구자 중 59명이 실제로 노벨상을 받았다. 올해 생리의학 분야에 이름을 올린 주인공은 국내 한타바이러스 최고 연구자인 이호왕 고려대 명예교수를 비롯해 칼 존슨 미국 뉴멕시코대 명예객원교수, 장피에르 샹죄 프랑스 파스퇴르연구소 명예교수, 히라노 도시오 일본 오사카대 명예교수, 기시모토 다다미쓰 일본 오사카대 면역제어연구실 교수다. 피인용 지수를 기반으로 예측한 결과이므로 mRNA 백신 개발자들의 이름은 없다.

#코로나 백신#노벨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