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가 함께 살며 가장 중요한 게 무엇일까? 함께 백년해로하기 위해선 건강이 최우선일 것이다. 2014년 예진희 용인예술과학대 항공서비스과 교수(59)는 남편이 “부부가 함께 건강해야 오래 즐겁게 살 수 있다”며 운동을 권했을 때부터 본격적으로 달리기 시작했다. 학창시절 운동을 싫어해 체육 점수가 늘 바닥이었고, 결혼한 뒤엔 사회생활에 육아까지 하면서 운동은 생각도 못했었던 그였다. 하지만 건강해야 생을 마칠 때까지 즐겁게 살 수 있다는 생각은 늘 하고 있었다.
“2005년이었을 겁니다. 무더운 여름날 통역 수업시간에 학생들이 집중하지 못하기에 ‘너희들은 꿈이 뭐니’라며 잠깐 샛길로 샌 적이 있어요. 그 때 제가 아이들에게 무심결에 ‘마라톤 풀코스 완주가 내 버킷리스트 중 하나야’라고 했어요. 막연하게, 결심한 것도 아니었는데….”
꼭 지켜야할 약속은 아니었지만 그 때부터 달리기와 마라톤 등에 관심을 가지고 지켜봤다. 혼자 동네 뒷산을 오르기도 하고 걷고 달리는 등 체계적인 운동은 아니지만 학생들과의 약속을 실천하려는 노력을 했다. 남편의 권유 뒤 주위를 살펴보니 바로 함께 달릴 사람들이 보였다. 가장 먼저 다가온 게 모교 서울 여의도고 선배들. 그는 “선후배 모임 때 이런 고민을 얘기했더니 바로 ‘너마클(여의도고 마라톤클럽)’이 있으니 나오면 된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했다. 바로 너마클에 가입했다.
“그 때부터 선배님들 지도를 받으며 체계적으로 함께 달리기 시작했어요. 모임은 주로 서울 반포한강시민공원에서 했지만 개인적으로도 집(경기 성남 분당)근처 탄천도 달리고 불곡산도 올랐어요.”
천주교 신자인 그는 분당성마태오성당마라톤동호회(마마동)에도 가입해 토요일엔 마마동에서, 일요일엔 너마클에서 달렸다. 더 잘 달리려고 주중에도 2일 10km씩 달렸다. 주당 30~40km를 달렸다. 2014년 가을 중앙마라톤에서 풀코스를 처음 완주했다. 4시간37분. 그는 “해냈다는 성취감에 날듯 기뻤다. 뭐든 할 수 있다는 자신감도 얻었다”고 했다.
“달리니 세상이 달라졌어요. 체력이 좋아지면서 삶이 활기 차 졌어요. 모든 일에 자신감도 넘쳤죠. 운동하고 출근하면 에너지 넘친 하루가 돼요. 사실 교수란 직업이 좀 점잖은 측면이 있는데 풀코스를 완주한 뒤엔 학생들을 지도할 때도 근성이 나왔어요. 과거 같으면 학생들을 지도할 때 어렵거나 뜻대로 되지 않으면 쉽게 포기하기도 했는데 이젠 끝까지 함께 가고 길을 찾아주려고 노력합니다.”
예 교수는 동아 춘천 등 메이저대회를 달리다 2017년 말 중앙마라톤을 끝으로 풀코스를 접었다. 풀코스 총 5회 완주. 기록을 단축하겠다는 욕심에 훈련도 열심히 했고 마지막 레이스에서 최선을 다하면서 4시간 32분이란 개인 최고기록도 세웠다. 하지만 예 교수는 “내 한계를 알았다. 기록 욕심에 빨리 달렸는데 그 다음날 왼쪽 발목 심줄과 인대가 늘어났다. 그 때 사람마다 역량은 다르다는 생각을 했고 운동에 대한 궤도를 수정했다”고 했다. 그동안의 목표가 풀코스 기록 단축이었다면 즐겁게 오래 달리기로 바꾼 것이다. 이후 대회는 10km와 하프코스 등 단축마라톤에만 나갔다. 물론 평소대로 주당 3~4회, 30~40km는 꾸준히 달리고 있다.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저도 한때 기록, 완주 횟수 등에 집착했는데 즐기며 꾸준히 달리는 게 더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다친 뒤 오래 달리기 위해선 보조운동이 필요하다는 생각도 했어요. 그래서 웨이트트레이닝과 요가, 필라테스 등을 시작했습니다. 운동을 하다보면 몸이 틀어진다거나 이상이 생겼다는 느낌이 있어요. 필라테스는 그것을 잘 잡아줘요. 근육운동을 하면 근육 세포가 쫀득쫀득하게 세워지는 듯한 힘이 느껴져요.”
웨이트트레이닝 주 3회, 필라테스 주 2회를 한다. 골프 연습도 주 3회 한다. 여러 가지 운동을 병행하면서 운동에서도 균형을 찾으려고 노력한다.
“운동을 하다보니 특정 종목마다 추구하는 방향이 다르다는 것을 알았어요. 예를 들면 골프는 한쪽만 쓰잖아요. 그래서 골프 선수들이 몸에 균형을 찾아주는 밸런스 운동을 많이 한다고 하더라고요. 달리기도 오래하다 보면 한쪽 발목, 무릎 등에 이상이 오면 반대쪽에도 영향을 주더라고요.”
예 교수는 2018년 승마에도 입문했었다. 주위 권위로 시작했는데 속도감에 자칫 떨어지면 다칠 수 있어 1년 반 정도 하고 그만 뒀다. 그는 “다치면 다른 운동을 못할 수 있어 그만 뒀다”고 했다. 예 교수는 “어느 순간 운동은 하루 세끼 먹고 잠을 자야 하듯 안 하면 안 되는 삶의 일부가 됐다”고 했다.
요즘엔 부정기적이지만 사실상 전국을 돌아다니며 달린다. 너마클, 마마동 회원들의 권유에 따라 경기 파주 감악산, 수원 광교, 성남 분당 율동공원, 과천 관문운동장 등에서 만나 달리고 있기 때문이다. 장거리 원정을 가기도 한다. 그는 “그 지역에 사는 회원들이 추천해주면 가서 달리는 식이다”고 했다.
남편도 함께 달릴까? 예 교수는 “솔직히 나 보다는 운동을 열심히 하진 않는다”고 했다. 피트니스센터에 다니면서 운동을 하고 있긴 하지만 예 교수보다는 열정적이지 않다고. 하지만 앞으로는 자주 함께 운동할 계획이라고 했다.
“제가 얼마 전 지인들과 함께 당일치기로 한라산을 다녀왔어요. 눈 덮인 한라산이 너무 아름다워 자랑을 했더니 남편이 부러워하더라고요. 그래서 5월에 함께 한라산에 가기로 했어요. 이제 자주 함께 운동할 겁니다.”
예 교수는 ‘달리기 전도사’ 역할도 하고 있다. 가까운 지인들에게는 직접 말하고, 각종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달리기가 주는 유익함을 홍보하고 있다. 마마동에선 신자가 아니더라도 회원으로 받아주는데 함께 달리다 보면 신자가 되는 경우도 있다고 했다. 가족 및 제자들에게도 달리기를 권한다.
“솔직히 우리 아이들은 운동엔 관심이 없어요. 하지만 딸은 운동하는 엄마 아빠를 보며 건강관리의 중요성을 알고 있기는 하다고 하더라고요. 제자들에게도 얘기는 하는데…. 아직 어려서인지 별로 관심이 없어요. 수업 시간에 ‘마라톤 풀코스가 어떤 의미인지 아느냐? 너희들이 서울 양재동에서 버스를 타고 학교에 오는 거리를 달리는 것이다’고 하면 놀라기는 하지만 정작 달릴 생각은 하지 않더라고요.”
예 교수는 4월 16~17일 열리는 2022서울마라톤 비대면 버추얼 마라톤에도 참가신청을 했다. 그는 “매년 첫 메이저 마라톤대회에서 너마클 후배들이 첫 풀코스에 도전한다. 선배들이 응원하며 함께 달리는 게 전통이다. 하프코스를 달릴지, 풀코스를 달릴지 결정은 하지 않았다. 컨디션 봐서 후배들을 위해서 풀코스를 달릴 수도 있다. 정 안 되면 2일에 걸쳐 풀코스를 달려도 되니 고민해보겠다”고 했다.
달리면서 함께 하는 사람들의 중요성도 다시 알았다. 예 교수는 “함께 응원하며 달린다는 게 어떤 의미인지 해본 사람은 안다. 인생은 혼자 살 수 없다. 서로에게 힘이 되고 기쁨이 돼주면 얼마나 좋은가”라고 했다. 달리면서 평생 함께 할 ‘건강한 취미’를 얻었다고 하는 예 교수는 “한 살 더 먹으면 몸이 달라진다는데 난 아직도 몇 년 전과 똑같은 거리를 매주 달리고 있다. 그럼 실제론 더 젊어진 것 아니냐”며 활짝 웃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