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를 끊었다가 다시 피우면 금연했을 때보다 폐암 발생 위험도가 48%나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6일 삼성서울병원 신동욱 교수,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유정은 교수 연구팀은 흡연 이력이 있는 국가건강검진 참여자 89만3582명을 분석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2009년과 2011년 국가건강검진에서 밝힌 흡연력을 토대로 이들의 2018년까지 흡연량 변화에 따른 암 발생 여부를 추적 조사했다. 연구 대상자는 40세 이상으로, 평균 추적 관찰 기간 6년여 동안 5만869명이 암을 진단받았다. 이 가운데 81%가 흡연과 직·간접적으로 관련 있는 암인 것으로 보고됐다.
연구팀은 이들을 하루 평균 흡연한 담배 개비 수를 기준으로 금연군, 감연군, 유지군, 증가군으로 구분했다. 이들 중 금연에 성공한 사람은 20.6%(18만4092명)였다. 흡연량을 줄인 사람은 18.9%(16만8615명)였고, 평소 피우던 대로 흡연을 유지한 사람은 45.7%(40만8605명)였다. 14.8%(13만2270명)는 흡연량이 늘었다.
이들 집단 간 암 발생 위험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금연에 성공한 집단이 흡연량을 유지하는 집단보다 전체 암 발생 위험률이 6% 낮았다. 흡연 관련 암 발생 위험은 9%, 폐암은 21% 낮았다.
완전히 금연하지 못했더라도 흡연량을 줄인 경우 암 발생 위험을 낮추는 효과를 보였다. 흡연량을 50% 이상 감연한 경우 유지군에 비해 전체 암 발생은 4%, 흡연 관련 암은 5%, 폐암은 17% 정도 위험도를 줄였다.
하지만 담배를 완전히 끊었던 사람이 다시 피우는 경우엔 암 발병 위험도가 높아졌다. 연구팀은 89만3582명 중 2013년 건강검진 자료가 확인된 68만2996명을 추가로 분석해 금연 중인 사람과 금연 후 다시 흡연을 시작한 사람의 암 발생 위험도를 비교했다.
금연하다 다시 담배를 피우는 경우, 이전 흡연량의 50% 이상으로 감연하더라도 금연 상태를 유지한 경우와 비교했을 때 흡연 관련 암은 19%, 폐암은 48%까지 발생 위험도가 다시 높아졌다.
신동욱 교수는 “안전한 흡연 수준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흡연자라면 지금 당장 담배를 끊는 게 건강에 가장 좋다”며 “금연에 실패했다고 낙담하지 말고 일단 흡연량을 충분히 줄여 위험을 낮추고, 최종적으로 담배로부터 해방돼야 암 걱정을 덜 수 있다”고 말했다.
유정은 교수는 “그동안 금연 이후 다시 담배를 피우는 것이 암 발생 위험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했다”며 “금연 후 재흡연 시 암 발생이 증가할 수 있으니 어렵게 금연에 성공했으면 반드시 금연 상태를 지속하는 게 좋다”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