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6호와 차세대 중형위성 2호의 발사 일정이 안갯 속이다. 올 하반기 발사할 예정이었으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미국과 러시아 간의 갈등이 고조되면서 발사에 제동이 걸렸다. 사태가 수습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 가운데 정부는 러시아와의 계약을 해지하고 대안 로켓 찾기까지 선택안에 올려놓고 타계책을 모색 중이다.
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정부는 한반도 정밀관측을 통해 다양한 공공임무를 수행할 아리랑 6호와 차세대 중형위성 2호를 올 하반기에 각각 러시아 앙가라 로켓으로 러시아 플레세츠크 우주기지에서, 러시아 소유스 로켓으로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센터에서 발사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제사회가 러시아 우주산업에 대한 제재에 들어가면서 예정한 발사 일정이 불투명해졌다.
위성의 설계부터 본체 개발, 총조립 및 시험, 지상국 등을 모두 국내 독자 개발한 다목적실용위성 6호는 한반도 및 전천후 지구 정밀관측을 위한 실용위성이다. 서브미터급 영상레이더(SAR)를 탑재해 날씨, 주야 구분 없이 지상 관측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라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국내 산업체 주도로 개발한 최초 위성인 차세대 중형위성 2호는 발사 후 재난재해 대응 및 국가 공간정보 활용 서비스 등에 영상을 제공할 목적으로 개발됐다.
과기정통부는 현재 러시아와 해당 위성 2대에 대한 발사 계약을 유지 중이지만 우크라이나 사태가 장기화 국면임에 따라 마냥 기다릴 수 없어 다른 발사체를 활용하는 대안까지 타진 중이다.
하지만 러시아 발사체를 사용하지 못하는 나라들이 동시에 ‘플랜 B’를 찾는 상황이라 스페이스X사 등으로 발사 수요가 몰리고 있어 빠른 시일 내에 찾기는 힘들다는 분석이다. 또한 발사체를 바꾸면 위성의 환경시험 등도 모두 다시 진행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발사체를 변경하면 추가 비용 부담이 상당하다. 더군다나 러시아에 현재까지 지불한 로켓 발사 계약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페널티도 떠안아야 한다.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 후 6월에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발사에 성공하고 지난 5일에는 한국 첫 달궤도선 ‘다누리’가 달을 향한 여정에 오르면서 우주강국을 향한 행보가 착착 진행됐지만 마지막 단추인 위성 발사 일정에는 차질이 생긴 것이다.
당초 정부는 올해 ▲발사체(누리호 2차 발사) ▲우주탐사(달궤도선 다누리 발사) ▲위성(다목적 6호 위성·차세대 중형위성 2호 발사) 등 3대 우주개발 영역을 우리나라 우주개발 역사상 최초로 모두 수행한다고 강조해왔다.
한편 대통령실은 누리호와 다누리호 발사 성공을 언급하며 명실상부 우주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미래 우주경제 로드맵’(가칭)을 연내 발표하겠다고 지난 7일 발표했다. 특히 이 로드맵에는 차세대 발사체와 달착륙선, 이를 탐사하는 로버(탐사로봇) 기술 개발 사업을 포함한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유인 달탐사도 “조심스럽게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의 공약인 ‘항공우주청’ 설립에 대해서는 현재 주요 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립하는 단계라고 전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