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지역 응급환자 생명줄… “국내 7대뿐인 닥터헬기 추가 도입해야”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10월 13일 03시 00분


코멘트

전문의 탑승해 응급진료-처치 제공
인구수 대비 적어… 인식 전환 필요

인천 길병원의 닥터헬기가 응급 환자를 이송하기 위해 인계점으로 출동하는 모습. 국립중앙의료원 제공
인천 길병원의 닥터헬기가 응급 환자를 이송하기 위해 인계점으로 출동하는 모습. 국립중앙의료원 제공
닥터헬기(응급구조헬기)가 실어 나른 전국 응급환자가 지난해 기준으로 누적 1만1000명을 넘어섰다. 하지만 현재 운영 중인 닥터헬기 수가 여전히 부족해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중앙응급의료센터에 따르면 2011년 76명에 그쳤던 연간 닥터헬기 이송 환자는 2014년 950명으로 증가했다. 이후 2017년 1565명, 2019년 1732명 등으로 매년 증가해 2020년에는 누적 이송 환자가 1만 명이 넘었다. 지난해까지 11년간 총 1만1115명에 달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 기간에도 닥터헬기를 이용한 환자 이송은 꾸준히 이어졌다고 센터 측은 밝혔다.

닥터헬기는 도서 산간 등 의료 취약지역의 응급환자 이송을 위해 2011년 인천, 전남 지역에 처음으로 배치됐다. 2013년엔 경북과 강원, 2016년 충남과 전북, 2019년 경기 등 7개 지역에 닥터헬기가 배치됐다. 올해 12월 제주(제주한라병원)에 배치되면 전국의 절반 이상에 닥터헬기가 운영된다.

닥터헬기가 없던 시기엔 도서 산간 지역에서 중증 응급환자가 발생하면 소방이나 해경 헬기를 이용해 환자를 이송했다. 이들 헬기와 달리 닥터헬기는 전문 의료장비를 갖추고 있다. 응급의학과 전문의도 탑승해 응급실과 동일한 진료 및 처치를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종의 응급실이 환자에게 이동하는 개념이다.

특히 심한 외상이나 심장, 뇌혈관 질환으로 신속한 응급처치와 이송이 필요한 환자에게는 신고를 받으면 5분 내로 의료진을 태우고 닥터헬기가 출동한다. 도입 초기 소형 헬기만 사용됐지만 2018년부터는 중형 헬기로 변경했다. 운항 범위도 초기 130km에서 279km로 확대됐다.

그러나 선진국에 비해 우리나라 닥터헬기 수는 여전히 부족하다. 일본은 42대, 독일은 80여 대의 닥터헬기를 운용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닥터헬기가 전국에 7대밖에 없다. 인구나 국토의 특성을 고려하더라도 매우 적은 수준이다.

운영 비용도 해결해야 할 숙제다. 닥터헬기는 전문 의료진이 탑승하고 각종 의료장비가 탑재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들 수밖에 없다. 닥터헬기 1대당 연간 운영비는 소형 헬기 약 30억 원, 중형 헬기 약 40억 원에 달하고 있다.

닥터헬기 운항 시 발생하는 소음과 먼지에 대한 민원으로 현장 의료진이 어려움도 겪고 있다. 중앙응급의료센터 관계자는 “닥터헬기 이륙 시 발생하는 소음을 ‘생명을 구하는 소리’로 인식하는 등 국민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캠페인이 절실하다”며 “정부 또한 헬기 배치 기관, 운영 업체 등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닥터헬기를 통해 환자 한 명이라도 더 살리기 위한 개선안을 찾겠다”고 밝혔다.



#닥터헬기#추가 도입 필요#국내 7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