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의 칼럼]10년 후 ‘뇌졸중 의료 공백’ 막으려면 진료 환경 바꿔야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11월 23일 03시 00분


〈3〉뇌졸중 진료

게티이미지코리아
게티이미지코리아
갑작스레 발생하는 뇌혈관 폐쇄로 인해 편마비, 언어장애, 어지럼증 등 다양한 증상을 보이는 뇌졸중은 국내 사망 원인 4위 질환이다. 현재 연간 10만 명의 급성 뇌졸중 환자들이 발생하고 있으며 환자 수 역시 매년 증가 추세다. 다행히 치료 약제와 방법이 개선되면서 사망률은 오히려 감소하는 추세다.

다만 이처럼 치료 약제와 방법은 과거에 비해 많은 발전을 이뤘음에도 몇 가지 해결되지 못한 과제들이 효과적인 뇌졸중 치료를 가로막고 있다.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과제는 전문 인력의 확보다. 뇌졸중은 질환 특성상 신속한 조치를 위해 365일 24시간 전문의의 상주가 필요하다. 뇌졸중 환자가 발생하면 전문의는 분초를 다투며 검사와 응급 시술 또는 수술을 진행하며, 환자 1명을 3∼4시간씩 관찰해야 한다. 하지만 대학병원급에도 뇌졸중 분야별 전문의는 1∼2명에 불과하고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주당 100시간이 넘는 업무 강도를 ‘사명감’으로 버티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현실이 이렇다 보니 뇌졸중을 전공하는 의사는 갈수록 줄어들고, 인력 확보는 더욱 어려워지는 악순환을 낳는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전문의에 기반한 뇌졸중 상시 진료시스템 구축이라는 과제를 더 이상 개별 병원의 몫으로만 돌려서는 안 된다. 현재의 응급의료체계와 같이 국가 정책에 기반해 적정 규모의 인력으로 진료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고, 현실적인 의료수가를 책정하는 등 뇌졸중 전문의의 업무 강도에 대한 보상 역시 뒷받침돼야 할 것이다.

백장현 강북삼성병원 신경과 교수 (대한신경중재치료의학회 홍보·대외협력 이사)
백장현 강북삼성병원 신경과 교수 (대한신경중재치료의학회 홍보·대외협력 이사)
더불어 전문 진료과 간의 협력에도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뇌졸중 전문 진료과는 신경과, 신경외과, 영상의학과가 있다. 신경과는 뇌졸중의 일선 진료와 선별, 첫 진단과 함께 뇌졸중 중 주로 혈관 폐색이 원인인 뇌경색(허혈성 뇌졸중)을 담당한다. 신경외과는 주로 출혈이 원인인 뇌출혈(출혈성 뇌졸중)을 포함한 각종 뇌졸중의 수술적 치료를 담당한다. 영상의학과는 뇌졸중의 주요 치료 방법인 뇌혈관중재시술(혈전제거술이나 코일색전술 등)을 담당한다. 그간 뇌졸중 진료는 이 세 진료과의 유기적인 협력 아래에 이뤄져 왔는데, 최근 전문 인력의 감소 등으로 협업체계가 와해되고 있어 우려스럽다. 앞으로의 뇌졸중 관련 정책에는 이러한 각 전문 진료과의 역할을 합리적으로 규정하고 조화롭게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내용도 반영돼야 할 것이다.

뇌졸중 집중치료가 가능한 심뇌혈관질환센터의 부족 및 미흡한 운영도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문제다. 최근 권역별 심뇌혈관질환센터를 중심으로 의료기관, 119구급대 등 지역 실정에 맞게 네트워크를 구성, 질환의 발생부터 최종 치료까지 시간을 단축해 치료 성과를 높이고자 하는 ‘응급심뇌혈관질환 전달체계 개편 시범사업’을 시행한다고 하는데, 이러한 시범사업의 성과에 기반해 전국적인 심뇌혈관질환센터의 증설과 재정비도 이뤄지기를 기대해 본다.

고령사회로 접어들면서 우리나라의 뇌졸중 환자 증가세는 더욱 가팔라질것으로 전망된다. 2030년에는 연간 뇌졸중 발생자 수가 35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지금의 상황을 계속 방치한다면 10년 후에는 의료 공백이 심화돼 사회적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지금부터라도 정부와 의료계 종사자들이 관심을 갖고 지속 가능한 뇌졸중 진료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헬스동아#건강#의학#전문의 칼럼#뇌졸중 의료 공백#진료 환경#뇌졸중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