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인 노화보다 급격히 신체 기능이 허약해져 장애나 입원 가능성이 커진 상태를 ‘노쇠’라고 한다. 생활 습관이 불규칙적이거나 질병, 복용이 관리되지 않고 신체 활동이 떨어지면 노쇠 위험이 커진다. 최근 구강 건강도 노쇠와 큰 연관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정희원 교수·빛고을 전남대병원 노년내과 강민구 교수팀은 65세 이상 노인 3018명의 노쇠 정도와 음식을 씹는 저작 기능을 분석한 결과 음식을 씹기 어려운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노쇠 비율이 약 2.68배 높은 것을 확인했다.
씹는 기능이 떨어지는 노인은 정상 노인보다 치주질환이 많고 치아 개수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구강 건강을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하면 노년기 노쇠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 3018명을 대상으로 노쇠 정도와 씹는 기능을 조사했다. 씹는 기능은 음식을 씹는 데 어려움이 있는지를 설문 조사를 했다. 노쇠 여부는 노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36가지 항목 중 현재 해당되는 항목의 비율로 계산했다. 노쇠에 영향을 주는 항목으로는 △천식, 당뇨병, 뇌졸중 등 동반질환 △운동 능력, 사회활동 제한, 난청 등 기능적 평가 △우울, 체중 감소, 스트레스 등 노쇠 징후와 증상 등이 포함됐다.
전체 조사 노인 중 노쇠하지 않은 건강한 집단은 1222명, 노쇠 전 집단은 1014명, 노쇠 집단은 782명으로 분류됐다. 집단별 씹는 기능을 확인하면 건강한 집단의 365명(29.9%), 전 노쇠 집단의 426명(42%), 노쇠 집단의 465명(59.5%)이 씹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답했다.
이를 비교집단 간 나이와 성별, 체질량 지수, 각종 질병 등이 유사하도록 수치를 바로잡아 분석한 결과 저작 어려움을 호소하는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보다 노쇠 집단에서 약 2.68배, 전 노쇠 집단에서 1.4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저작 어려움과 연관된 요인들도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치주질환이 있으면 음식 씹는 어려움이 약 1.29배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사랑니나 충치 치아를 제외한 건강한 영구치가 1개 감소할수록 음식을 씹는 기능이 3%씩 감소했다.
정희원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교수는 “음식을 씹는 능력이 영양 섭취와 식단 선택에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노년기의 전신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라며 “평소 구강 검진을 통해 치아 상태를 건강하게 관리하고 이미 음식을 씹는 데 어려움이 있는 노인의 경우 고령친화 식품이나 보충제 등을 통해 영양분을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인 ‘노년임상중재’에 실렸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