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당뇨병 환자가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다. 대한당뇨병학회가 최근 공개한 ‘팩트시트2022 확장판’에 따르면 2020년 기준 30세 이상 당뇨 유병자는 약 605만 명으로, 6명 중 1명(유병률 16.7%)은 당뇨병을 앓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학회가 2012년 당시 2050년 예상한 당뇨 환자(약 591만 명)를 30년이나 앞서 추월한 셈이다.
당뇨는 △의사로부터 당뇨병 진단 △당뇨병약제로 치료 △공복혈당이 126㎎/㎗ 이상 △당화혈색소가 6.5% 이상 등 4개의 기준 가운데 하나 이상에 해당되면 유병자로 진단내린다. 당뇨병이 아니면서 공복혈당이 100~125㎎/㎗ 또는 당화혈색소 5.7~6.4%인 경우에는 당뇨병 전단계인 공복혈당장애에 해당한다.
국민건강영양조사를 기반으로 한 학회 자료에 따르면 당뇨병 유병자(이하 2019-2020년 통합)는 70대 이상이 28.6%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어 △60대(27.7%) △50대(26.2%) △40대(13%) △30대(4.6%) 순이다. 통계를 보면 당뇨를 앓는 30대는 24만 명, 40대는 68만 명이다. 비교적 젊은층인 30·40대 당뇨병 인구가 100만 명에 육박하는 셈이다.
게다가 당뇨 전단계에 해당하는 30세 이상도 1497만 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를 당뇨 유병자와 합하면 우리 국민 2000만 명 이상이 현재 당뇨를 앓고 있거나 위험군에 해당한다는 의미다. 현재까지 29세 이하 연령대의 국가 혹은 학회 차원의 당뇨 유병률 통계는 없다. 따라서 10·20대까지 포함하면 당뇨 인구는 훨씬 더 많아질 것으로 추정된다.
당뇨, 합병증 위험…예방하려면 꾸준한 관리必
당뇨가 ‘침묵의 암살자’ 등으로 불리는 이유는 합병증 때문이다. 당뇨병 유병자는 복부비만과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등의 동반 비율이 높다. 특히나 젊은층은 건강검진을 받지 않으면 자신이 당뇨라는 사실을 잘 모르거나 합병증에 대해 크게 신경쓰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당뇨를 더 악화시킬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학회 자료에 따르면 당뇨병 유병자 중 과반이 비만을 동반했다. 전체 당뇨 환자의 22%가 저체중이거나 정상 체중이었다. 반면 41.5%가 1단계 비만에 해당했고 2단계 비만(11%)과 3단계 비만(1.9%) 순이었다. 비만전단계는 23.6%였다. 또한 30세 이상 당뇨병 유병자 중 절반 이상인 58.6%가 고혈압을 동반했다. 65세 이상에서는 10명 중 7명이 고혈압에 해당했다. 30세 이상 당뇨 환자 가운데 76.1%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을 동반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당뇨는 식생활과 규칙적인 운동 등을 꾸준히 실천하고 관리해야 예방이 가능하다. 당뇨 진단을 받은 유병자 중 22.3%가 흡연을 하고 있었다. 또 비슷한 수치인 22.8%가 고위험음주에 해당했다. 고위험음주율은 1회 평균 음주량이 남성 7잔, 여성 5잔 이상에 해당하며 주 2회 이상 음주하는 비율이다. 반면 주 5일 이상(1일 총 30분 이상) 걷기를 실천하는 이들은 3명 중 1명(38.1%)에 불과했다.
전문가 참여 당뇨 심포지움, 내달 14일 열린다
동아일보와 채널A는 서울 헬스쇼의 부대행사로 내달 14일 오전 10시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당뇨병 대란의 현황과 대응 과제를 짚어볼 수 있는 심포지움을 개최한다.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권혁상 대한당뇨병학회 언론홍보이사는 ‘대한민국 당뇨병 현황 진단’을 주제로 이야기한다. 문준성 당뇨병학회 총무이사는 ‘당뇨병 관리 대전환 시대를 위한 KDA의 제언’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진행한다. 또한 당뇨병 대란 위기 대응 방안에 대한 토론도 이어진다. 좌장으로는 원규장 당뇨병학회 이사장이, 패널로는 곽순헌 보건복지부 건강정책과장, 배재현 당뇨병학회 언론홍보간사, 황희 카카오헬스케어 대표, 김미영 시민단체 대표 등이 참여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