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발 걷기 열풍이다. 우리나라만의 현상은 아니다. 맨발로 다니는 문화가 정착된 호주 뉴질랜드는 물론 유럽과 미국에서도 신발을 벗어던지는 이가 늘고 있다.
맨발 걷기는 건강에 어떤 이점이 있을까. 국내에서 특히 인기 있는 황토에 대한 효능은 접어두고, 정형외과 적 관점에서 살펴보자.
두터운 밑창과 높은 뒤꿈치가 특징인 현대인의 필수품 신발이 발 건강을 해치는 주된 요인일 수 있다.
2021년 세계적인 과학저널 ‘네이처’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미니멀 신발(minimal footwear·기능적 부분을 제거해 발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에 간섭을 최소화한 신발. 유연하고 바닥이 편평한 게 특징)을 신고 6개월 동안 일상생활을 한 사람들은 발의 근력이 평균 57.4% 증가했다. 또한 균형 감각이 개선되고 넘어져 다치는(낙상) 위험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우리 발은 실제로 매우 튼튼하고 탄력적이며 우리가 가하는 요구에 대처할 수 있지만 사람들은 자연이 의도한 대로 사용하지 않는다”라고 영국 런던에서 활동하는 족부 전문의 리나 해리스가 10일(현지시각) 과학 전문지 내셔널 지오그래픽에 말했다. “우리 발에는 33개의 관절이 있고, (바닥에 아치가 있는) 발은 세 가지 다른 평면에서 움직인다. 따라서 발은 걷는 지형에 맞게 변형되어야 한다”고 그녀는 덧붙였다.
그러나 현대의 신발은 자연스러운 움직임의 형태를 제한하여 걸음걸이와 발의 구조에 까지 영향을 미친다.
“대부분의 현대 신발은 앞부분이 매우 좁아 발가락이 오므려지고, 발가락을 제대로 눌러서 쓸 수 없기 때문에 발의 내재 근육을 활용할 수 없다”고 해리스는 설명했다. 게다가 쿠션이 있는 미드솔(신발의 창을 튼튼하게 하려고 겉창 속에 한 겹을 덧붙여 댄 창)은 감각 압력을 줄여 발아래 지면을 느끼기 어렵게 만든다. 이는 시간이 지나면서 나쁜 자세, 균형감 감소, 심지어 발의 아치를 무너뜨려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우리의 발은 쿠션이 있는 신발에 적응한 탓에 본래의 힘을 일부 잃었다. 따라서 맨발로 더 자주 걷는 것은 발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다만 적응할 시간을 충분히 줘야 한다.
미국 네바다 라스베이거스대학교(UNLV)의 운동역학 교수인 존 머서는 “너무 빨리 맨발로 전환하면 잘 사용하지 않는 근육과 힘줄에 과부하가 걸려 스트레스 골절, 족저근막염, 아킬레스건 염을 유발할 수 있다”며 서두르지 말고 조금씩 단계를 밟아갈 것을 권고했다. 그러면서 중간 과정으로 미니멀 신발을 착용하는 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맨발 걷기가 모든 사람에게 맞는 것은 아니라면서 맞지 않는다면 굳이 맨발 걷기를 할 필요가 없다고 조언했다.
앞서 지난 3월 미국의 건강정보 매체 웰앤굿(wellandgood)은 ‘신발을 벗고 싶게 만드는 맨발 걷기의 세 가지 확실한 이점’을 소개했다.
“맨발 걷기는 발 근육을 강화하며, 그 결과 몸 전체적으로 더 나은 자세와 균형을 갖는데 도움이 된다”고 족부 전문의 미구엘 쿠냐 박사가 말했다. 또한 고유 수용감각(신체가 공간 어디에 있는지 인지하는 능력)이 향상 돼 균형을 잘 잡게 된다.
“맨발 걷기는 발바닥의 수용 체를 자극해 고유 수용감각을 높일 수 있으며, 이는 신체 위치에 대한 인식, 자세, 균형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쿠냐 박사는 설명했다.
둘째, 발 근육 강화.
우리 발에는 각각 19개의 근육과 힘줄이 있으며, 이들의 강도는 인간이 직립자세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부드러운 지표면에서 맨발로 걷는 것은 여러 근육을 강화할 수 있다”고 쿠냐 박사는 말했다. 여러 근육에는 발 아치와 관련 있는 내재 근육, 앞쪽 발목의 전경골건, 발뒤꿈치 뼈와 발가락을 연결하는 족저근막 그리고 아킬레스건이 포함된다.
2017년 10월 과학기술 인용색인(SCI)급 학술지 ‘걸음걸이와 자세’(Gait & Posture)에 실린 작은 연구에 따르면, 맨발로 걷는 것은 나이가 들면서 근육 강도가 감소하는 것을 막아준다. 이는 낙상 위험와 관련 있다. 즉, 맨발로 걷는 것은 발의 강도와 균형을 향상시키고 낙상 위험을 줄여준다.
셋째, 대지와 몸이 직접 접촉하는 접지 통해 스트레스 감소.
‘접지’(grounding)는 ‘어싱’(earthing)'이라고도 표현하며, 인간의 몸이 지구와 연결될 때(맨발로 풀이나 모래 위에 서 있을 때) 건강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아이디어다. 2015년 3월 SCI급 학술지 ‘염증연구’(Journal of Inflammation Research)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접지는 수면 장애와 코르티솔(스트레스 호르몬) 수치를 개선하고, 통증과 스트레스를 줄이며, 상처 치유를 빠르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맨발걷기 무좀 치료에나 도음될지언정 무슨 어싱이니 자기장 어쩌니 선동에 춤추고있네. 지자체 세금으로 진흙관리에 인력에 장마철 토사관리 등 낭비이다
2024-07-13 23:02:39
흑해연안 조지아의 우레키 해변처럼, 우리나라에도 희소가치가 있는 춘천 홍천강변이나 감포 고와라해변의 특이하고 독특한 모래밭에서 맨발로 "샌드마사지"를 하면,여러가지 질환들이 한의학의 침치료와 유사한 효과를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불면증,관절통,심장질환,복부비만,만성변비,어지러움증,발가락 무좀 등이 임상실험을 통하여 신기할 정도로 호전이 되거나 치유가 되고 있습니다.
2024-07-13 11:37:46
그냥 신발 신고 그만큼 걸어도 건강에 충분히 좋습니다. 다만 절대 당뇨환자에겐 금물.
2024-07-13 11:36:30
맨발 걷기는 이미 수** 전 부터 유럽에서 흔히들 하던 것입니다. 특별히 좋은 것 없고 자연의 흙을 걷는 것이 좋은 사람들이 하던 것입니다. 특별히 생겨난 것이 아니라 원래 있었던 문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선 모든 게 유행이 돼죠. 즉 곧 시들어버린다는 말.
2024-07-12 13:50:17
의학적으로 입증됨.
2024-07-12 11:45:41
나이 들어서 맨발로 다니면 이미 노족인데 아치 무너지고 족저근막염에 걸려서 큰 고생합니다. 특히 파상풍균은 흙속에 있는 균으로 상처가 생긴 맨발에 감염되면 일 터집니다. 쓸데없는 잡지식에 판단을 그르치지 마세요.
댓글 14
추천 많은 댓글
2024-07-11 11:24:13
맨발로 걸으면 각종 세균, 미생물 ...유해 화학물질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심지어 ...나무 가시나 유리조각, 못 같은 것에 찔려서 파상풍이 생길수도 있습니다.
2024-07-11 12:11:14
좋다 하니까 너도 나도.ㅠㅠㅠ 그렇다면 신발 안신고 다닌 원시인들의 건강 상태는 현대인 보다 월등히 좋았겠네? ㅎㅎㅎㅎㅎㅎㅎ
2024-07-11 15:21:37
의학적으로 전혀 근거가 없다고 수차례 방송에 나오던데 뭔 헛소리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