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전환이 가속화 되면서 전국 지자체가 공공서비스 강화를 위해 자가통신망 구축에 적극 나서고 있다. 자가통신망은 지자체에서 자체적으로 설치하는 자가통신 광케이블이다. 자체 통신 시스템을 갖추면 통신사 임대망 사용으로 발생되는 예산의 절감은 물론, 대(對)시민서비스 확대 및 운영관리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앞서 올해 1월 19일부터 개정 전기통신사업법 시행에 따라 공공와이파이·공공사물인터넷(loT) 등 공익 목적에 한해 지자체가 기간통신사업자로 등록할 수 있게 됐다. 이런 가운데 정부도 지자체 자가통신망 활용 지원에 나섰다. 지난 5월에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자가통신망 활용 실증 인프라 구축' 사업을 위해 지방자치단체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지자체는 자가통신망을 이용해 버스정보 안내단말기와 방범·재난·안전·교통 관리 CCTV, 공공와이파이, loT 사업 등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디지털 서비스와 연계할 수 있다. 또한 행정사무 처리와 다양한 공익사업의 발굴·추진도 가능하다.
하지만 공공서비스의 고도화는 장애발생 위험성도 증가할 가능성이 커 이에 대한 대비책과 함께 체계적인 관리시스템 구축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막대한 예산을 들인 지자체 자가통신망이 원활한 공공서비스 제공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통합감시시스템’ 정착이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시스템을 통해 △자가통신망 트래픽분석 기반 최적 관리방안 도출 △자가통신망 노후화 사전 대비 △원격 운영관리로 현장출동 소요 감소·중대재해 최소화 △감시시스템 구축 장애발생 최소화 △중단없는 공공서비스 제공 역량이 확보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한다.
대구광역시는 자가통신망 통합관리의 모범사례로 꼽힌다. 대구시는 2017년 스마트광통신센터를 개소해 시 전역에 구축된 자가통신망의 안정적인 운영과 24시간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 또한 대구시는 2019년 자가통신망 '대구스마트넷'을 구축해 교통·안전·방재등 다양한 시설물 관리 및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 시는 이용 회선 수가 개통 당시보다 4.5배 증가해 443억원의 예산 절감 효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통신 분야 관계자는 "개정 전기통신사업법 시행으로 지자체의 기간통신사업자 등록이 활발해져, 앞으로 다양한 공익사업을 추진할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자가통신망의 사고 예방과 안전관리에 보다 철저를 기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