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중 비타민D 농도가 충분하면 사망위험이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를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이 전문 학술지에 발표했다.
비타민D는 주로 햇빛 노출을 통해 피부에서 합성되며, 어류, 버섯류, 비타민D 강화 유제품 등의 식품을 통해서도 섭취 가능하다.
체내 칼슘 대사를 조절하여 뼈의 성장 및 재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용성 비타민으로, 근골격계질환뿐 아니라 암, 심혈관계질환 등과도 관련이 있으며 사망위험과의 연관성도 보고되고 있다.
국립보건연구원은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KoGES) 농촌기반코호트의 약 14년간의 추적조사 자료를 활용해, 우리나라 40세 이상 남녀 1만 8797명의 혈중 비타민D 농도와 사망위험 간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는 혈중 비타민D 농도를 30nmol/L(리터당 나노몰) 미만, 30-〈50nmol/L, 50-〈75nmol/L, 75nmol/L 이상의 4개 그룹으로 분류하고, 농도가 가장 낮은 수준인 30nmol/L 미만 그룹과 나머지 그룹 간의 사망위험을 비교 분석했다.
혈중 비타민D의 적정 수준에 대해서는 아직 통일된 기준은 없으나, 외국의 경우 일반적으로 30nmol/L보다 낮으면 결핍 또는 심각한 결핍으로 분류하고 있다.
전체 연구대상자의 혈중 비타민D 농도의 중앙값(median, 데이터를 크기 순서대로 정렬 시 가장 중앙에 위치하는 값)은 55.8nmol/L(사분위수 범위: 40.8-71.8nmol/L)다.
분석 결과, 혈중 비타민D 농도가 가장 낮은 30nmol/L 미만 그룹에 비해 30-〈50nmol/L, 50-〈75nmol/L, 75nmol/L 이상인 그룹에서 전체 사망위험이 각각 18%, 26%, 31%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암으로 인한 사망위험은 50-〈75nmol/L, 75nmol/L 이상인 그룹에서 각각 37%, 45% 더 낮았다.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는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위험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중 비타민D가 1nmol/L씩 증가함에 따른 전체 사망위험을 분석한 결과, 낮은 농도부터 약 50-60nmol/L 수준까지는 사망위험이 현저하게 감소했으며, 그 이후부터는 감소 정도가 완만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영양 및 식이요법 분야 국제학술지 ‘Clinical Nutrition’ 43권 9호에 게재됐다. (논문명: Serum 25-hydroxyvitamin D levels and risk of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 A 14-year prospective cohort study)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사망위험을 낮추기 위해서는 비타민D가 결핍되지 않도록 관리할 필요가 있다”며 “질병 예방 및 사망위험 감소를 위하여 한국인에 맞는 적정 수준의 비타민D 농도 규명을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댓글 1
추천 많은 댓글
2024-09-11 12:08:55
이거 의새들이 싫어하는 논문이다. 요즘보면 아산병원 노인의학과 정교수가 실수를 범하는게 비타민들을 권장하지 않는다는거다. 노인들에게 비타민만큼 좋은 것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