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반려동물이 죽었을때 가장 후회스러운 일은..
Array
업데이트
2016-10-06 18:08
2016년 10월 6일 18시 08분
입력
2016-10-06 18:07
2016년 10월 6일 18시 07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사별한 보호자 63% 펫로스신드롬 느껴
개 보호자 "시간을 좀 더 같이 보낼 걸"
고양이 보호자 "건강 관리에 좀 더 신경쓸 걸"
[김민정 일본 통신원] 반려동물과의 이별은 지금은 생각하기 싫지만 언젠가는 닥쳐올 일이다.
어느날 갑자기는 아니더라도 만일 반려동물을 잃게 되면 어떤 일이 가장 두고두고 마음에 남을까.
일본의 한 반려동물보험회사가 지난 7월 15세에서 69세까지 성인 544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조사를 했다.
반려동물과 이별하게 된 가장 많은 이유는 늙어서가 43.6%로 가장 많았고, 병과 사고가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돌연사나 실종, 탈주, 행방불명 등은 10% 미만으로 소수에 그쳤다.
반려동물을 떠나 보낸 뒤 펫로스신드롬(반려동물을 잃은 뒤 슬픔을 느끼는 것, 심한 경우 일상생활에 장애가 생기기도 한다.) 증상을 경험했느냐는 질문에 전체의 63.2%(노령으로 이별한 경우 제외)가 '그런 증상을 느꼈다'고 답했다.
'갑자기 슬퍼져 눈물이 멈추지 않았다'라는 대답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다른 이의 반려동물을 보거나 하면 슬퍼지고 눈물 난 적이 있다' '한동안 말 수가 적어졌다.'는 대답이 그 뒤를 이었다.
이러한 증상이 계속된 기간은 46.2%가 1개월 미만이라 대답했다.
1년 이내에 증상이 낫게 된 비율은 80% 가까이 돼 어느 정도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2.9%는 펫로스신드롬 증상이 계속됐다고 답했다.
반려동물과 이별한 이후 후회하고 있는 것이 있느냐는 질문에 70% 가까이가 있다고 답했다.
개 보호자는 '더 함께 시간을 보내지 못한 것'이 가장 많았다. '좀 더 건강관리에 신경 써 줄 걸 그랬다'는 답이 이어졌다.
고양이 보호자들은 반대로 '좀 더 건강관리레 신경 써 줄 걸 그랬다'는 답이 가장 많았다. 고양이 보호자는 마음의 준비에 대한 후회가 많은 것으로 고양이와의 이별이 예상치 못한 타이밍에 발생했다는 것으로 풀이됐다.
반려동물과 지낸 날들을 되돌아 볼 때, 좋았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무려 90% 가까이가 그렇다고 했다
반려동물과의 이별은 상당수 보호자에게 큰 고통으로 주변의 도움도 필요하다는 권고다.
또 후회가 많이 남지 않도록 지금 곁에 있는 반려동물과의 시간을 더욱 소중히 여겨야 할 일이다.
* 본 기사의 내용은 동아닷컴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지금 뜨는 뉴스
전기차는 클린? 브레이크 분진이 디젤 배기가스보다 해롭다
“이재명은 민주당의 아버지” 강민구 前 최고위원, 野 싱크탱크 부원장 임명
[속보]크렘린궁 “러 외무장관, 18일 사우디서 美대표단 회동”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0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