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政街 막전막후]한나라 대선주자 3人 총력전 시동

  • 입력 2005년 1월 30일 18시 20분


코멘트
한나라당 차기 대선주자인 ‘빅3’ 간의 경쟁이 조기에 가열되는 양상이다. 박근혜(朴槿惠) 대표와 이명박(李明博) 서울시장, 손학규(孫鶴圭) 경기지사 등은 내부 진용을 재편하는 한편 차별화된 리더십을 부각시키기 위해 총력전을 펴기 시작했다.

▽불붙는 3자 대결=박 대표는 이달 초 당직 개편을 단행해 2기 지도부를 출범시켰다. 정책정당 구현 등 당 개조에 ‘다걸기(올인)’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손 지사는 지난해 30, 40대 소장파를 중심으로 이미 캠프 구성을 끝냈다. 한동안 내부 진용 개편에 소극적이었던 이 시장 측도 다음달 초 국회 보좌관 출신 등을 서울시 계약직으로 채용해 정무팀을 발족시킬 것으로 알려졌다.

지지율 경쟁도 뜨겁다. 지난해 12월 23, 24일 실시된 본보와 코리아리서치센터(KRC) 조사에서 박 대표는 17.4%로 2위를 차지했으나 이 시장은 8.4%로 4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박 대표는 최근 과거사 정국에서 지지율이 다소 주춤한 반면 이 시장은 상승세가 감지되고 있다는 게 여론조사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반면 손 지사는 최근 전문가들을 상대로 한 여론조사에서 1위로 꼽혀 ‘자질론’을 앞세운 홍보전을 펴고 있다.

▽물고 물리는 삼각관계=박 대표는 철저히 당 대표로서의 행보에만 주력하고 있다. ‘대권’ 운운하는 자체에 생리적 거부감을 보이고 있다. 한 측근은 “박 대표는 철저하게 정치적인 계산을 따지는 ‘정치공학’이라는 용어 자체에 반감을 갖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대표직의 성패가 향후 대선 행보의 결정적 분수령이 될 것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당의 체질 개선에 성공해 국민적 평가를 받게 되면 자연스럽게 ‘박근혜 대망론’이 확산되지 않겠느냐는 것. 박 대표가 올해 들어 ‘무정쟁 선언’을 하는 등 당 쇄신에 박차를 가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 시장과 손 지사도 승부수를 띄울 태세다.

이 시장 측은 올해 10월 청계천 복원사업 준공을 계기로 ‘이명박 대망론’에 불을 지필 태세다. ‘뉴 라이트’의 기수역을 자임한 손 지사 측도 남북합작농장사업 등을 통해 돌파구를 연다는 전략. 그러면서도 두 사람은 호남 및 충청권과의 협약 체결, 영어마을 건설 사업 등에선 서로 ‘아이디어 베끼기’를 마다하지 않는다.

당 내 위치에서 박 대표에게 뒤지는 이 시장과 손 지사는 독자적인 리더십을 부각시키겠다는 전략도 펴고 있다. 이 시장은 최근 기자들과 만나 지난해 수도 이전 문제에 대해 당 지도부가 보인 어정쩡한 태도를 질타했다. 자신이 수도 이전의 부당성을 천명해 사실상 헌법재판소의 수도 이전 위헌 결정을 끌어냈다는 점을 강조하려는 것이다.

손 지사 측은 여권의 ‘한나라당 고립화 전략’을 헤쳐 나갈 적임자는 ‘손학규’뿐이란 점을 알리는 데 주력하고 있다. 손 지사는 영남권 출신이 아닌 데다 신자유주의를 주장해왔다는 점에서 이념적으로 자유롭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손 지사가 각종 강연에서 한나라당의 주도세력 교체론을 역설한 것도 이 때문이다.

▽박근혜의 선택?=올해 ‘빅3’ 경쟁의 최대 관심사는 박 대표가 최종적으로 어떤 선택을 하느냐다. 우선은 박 대표가 박정희(朴正熙) 정권 시절을 겨냥한 여권의 과거사 공세를 헤쳐 나갈 수 있을지, 아니면 주저앉을지에 따라 ‘빅3’ 경쟁 구도에 큰 변화가 올 수 밖에 없다.

박 대표는 “나를 누구(박정희)의 딸로 보지 말아 달라”며 정면돌파할 뜻을 분명히 했지만 당 내에서 박 대표가 과연 ‘홀로서기’를 할 수 있을지에 대한 회의론도 만만치 않다. 당장 다음달 3일 의원 연찬회가 박 대표의 ‘홀로서기’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한편 박 대표의 동생인 지만 씨가 최근 한 언론 인터뷰에서 “누나는 차기 대선에서 자기보다 더 잘하는 인물이 있으면 물러날 준비도 되어 있다”고 한 대목도 민감한 파장을 던지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막판에 특정후보를 지지할 수도 있음을 암시하는 대목이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이 닥칠 경우 대권판도 자체에 큰 지각변동이 올 수도 있다는 게 당 안팎의 관측이다.


정연욱 기자 jyw11@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