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전시작전통제권 환수 논란과 관련해 자신을 간첩을 뜻하는 ‘세작(細作)’이라고 몰아붙였던 한나라당 김용갑 의원에 대해서는 호통 치듯 반박을 했다.
먼저 포문을 연 쪽은 김용갑 의원. 그는 “이 정권의 목표는 김정일 정권 살리기를 통한 분단의 고착화와 친북 세력의 기반 확대를 통한 체제 훼손”이라고 공격했다.
이 장관이 즉각 반발해 “그렇게 말하면 안 된다”고 다그친 뒤 2003년 10월 재독 사회학자 ‘송두율 교수 간첩사건’ 당시 김 의원이 자신을 송 교수의 배후로 지목한 사실을 상기시키며 “제가 명예훼손 소송으로 재판을 하겠다고 하자 의원님이 저에게 전화해서 죄송하다고 말하지 않았느냐”고 ‘비화’를 공개했다.
이 발언을 막으려는 김 의원에 대해 이 장관은 “말씀 들으세요”라며 목청을 높여 “모든 문제를 색깔론으로 몰고 가고, 또 책임을 안 지려고 하는 것은 아무리 국감장이지만 옳지 않다”고 훈계하기도 했다.
김 의원이 “노 대통령이 철저하게 북한의 대변인 노릇을 자임하고 있다”고 말한 뒤 6월 광주에서 열린 6·15 민족대축전을 거론하며 “광주는 2박 3일간 완전히 해방구였다”고 열을 올리자 열린우리당 의원들은 “김 의원의 사과 없이는 국감을 진행할 수 없다”고 강력히 반발했다.
이날 낮 12시 10분경 정회가 된 뒤 두 차례 속개와 중단을 거듭했지만 사태가 수습될 기미를 보이지 않자 김원웅 위원장은 오후 8시 반경 감사 종료를 선언했다.
하태원 기자 taewon_ha@donga.com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