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황폐한 산지 복구는 나무를 심는 것만으로는 안 된다. 근본 원인인 북한의 식량·연료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패키지’형이 돼야 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20일 공개한 ‘북한 황폐 산지 복구를 위한 협력방향’ 정책보고서를 통해 “산림 복구는 남북한이 신뢰를 쌓을 수 있는 대표적인 협력 사업”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정치적 부담이 적은 데다 기후변화에 대응해 환경보호와 성장을 병행하면 남북한이 상생 협력할 수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북한 산림을 복원해 식량과 땔감, 재해 예방을 고려한 복합 영농이 필요하다는 점은 동아일보가 지난해부터 추진한 ‘준비해야 하나 된다-통일코리아 프로젝트’의 핵심 주장이다. 올해부터는 아시아녹화기구와 함께 ‘나무 한 그루, 푸른 한반도’ 캠페인으로 확대 발전시켜 진행하고 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12년 북한 산림면적은 566만 ha. 2000년의 820만 ha에 비해 31% 감소한 것으로 매년 1만3464ha씩 산림면적이 줄어든 셈이다.
미국 세계자원연구소는 2000∼2012년 감소한 북한 산림이 16만515ha로 조성된 산림면적(1만3680ha)의 11.7배에 이른다고 밝히기도 했다. 북한이 자력으로 산림 황폐화를 해결하기에는 한계에 다다랐다는 평가가 많다.
보고서는 북한 전역의 산림을 해발고도 등 자연조건에 따라 6가지로 분류하고 유형별 맞춤사업을 제시했다.
경사가 완만해 토양 침식 위험이 낮은 지역은 산림농업(산림복원+식량생산)을, 경사가 급한 지역은 ‘탄소배출권조림’(A/R CDM) 사업을 제안하는 식이다. A/R CDM을 통해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의무를 대체할 수도 있다. 수관울폐도(일정 면적 중 나무가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지역별 ‘개도국 산림 감소 방지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REDD)’ 사업도 제시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올해 광복절 경축사에서 북한에 산림 공동관리를 제안했으며 대통령 직속 통일준비위원회에는 남북 산림협력 태스크포스(TF)가 구성돼 정책적 뒷받침을 하고 있다. 통일부도 민관 합동 형태로 북한 산림복원 종합 계획을 작성하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