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희 에세이/21세기 앞에서]권위와 권위주의

  • 입력 1997년 5월 2일 20시 07분


경영을 하다보면 때로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권위있는 전문가에게 자문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 경우 권위란 지위나 직책에 관계없이 인품이나 학식 능력이 뛰어나 타인이 스스로 신뢰하고 승복하게 하는 힘을 말한다. 그러나 불행히도 우리 사회의 각 분야에는 권위는 사라지고 권위주의만 난무하고 있다. 권위주의란 직위 권력 경제력 등 우월한 요소를 내세워 남을 「억지로」 따르게 하거나 지배하려는 태도를 의미한다. ▼ 형식―격식 너무 집착 ▼ 남을 복종시킨다는 면에서는 권위와 다를 바 없지만 강제성을 띠고 있다는 점에서는 커다란 차이가 있다. 권위주의는 중앙집권 군사문화의 잔재로서 우리 주변에서도 쉽게 발견하고 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체육대회를 하면서 임원의 운동모자에는 금테를 둘러야 한다느니, 사무실의 책상과 의자가 직급별로 차이가 있어야 하고, 하다 못해 의자 등받이라도 높아야 한다는 발상이 그것이다. 이같이 지나친 형식과 격식에 집착하는 권위주의는 언로를 막고 독선을 가져온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지도층의 권위주의는 사회의 공적(公敵)이라 할 수 있다. 기업도 권위주의에 물들어 있기는 마찬가지다. 회의시 토론은 실종된 채 일방적인 상의하달식 의사전달만 쏟아지는 것은 이미 익숙한 풍경이다. 아랫사람에 대해서는 전혀 신경쓰지 않고 윗사람에게만 굽신거리는 사람이 결과적으로 「더 잘나가는」 왜곡된 현상도 우리는 너무나 자주 본다. 이런 권위주의로 인해 사람은 오그라들고 조직은 황폐화한다. 지금 우리 사회에 필요한 것은 권위주의가 아닌 권위이다. 진정한 권위란 누구도 넘볼 수 없는 학식이나 능력을 갖추고 있으면서도 남의 인권을 존중하고 겸손할 줄 아는데서 생겨난다. 조선 역사를 통틀어 孟思誠(맹사성)과 黃喜(황희)는 최고의 명재상으로 손꼽히고 있다. 맹사성은 비록 벼슬이 낮은 사람이 찾아와도 예의를 갖추고 대문 밖까지 나와 맞이했으며 손님에게 반드시 상석을 내주었다. 황희는 노비들에게도 함부로 대하지 않았다고 한다. 물론 겸손하다는 것만으로 권위를 얻을 수는 없다. 모든 조직의 관리자는 윗사람다운 실력, 선배다운 인격을 갖추도록 노력해야 한다. 권위주의를 없앤다고 조직을 방임해서는 안되며 조직원의 잘못된 부분을 가르쳐서 올바른 사람으로 키워내야 한다. 권위주의는 조직을 딱딱하게 만들지만 권위가 없으면 조직의 질서가 무너진다. ▼ 권위갖춘 어른 아쉬워 ▼ 지금 우리 사회는 권위를 갖춘 어른이 필요하다. 사회의 잘못에 대해서 용기있게 꾸짖을 수 있고 방향을 못찾고 헤맬 때는 스스로를 불태울 수 있는 등불이 있어야 한다. 기업 경영자도 사무실에만 칩거하여 측근이 전해주는 장밋빛 소식에 솔깃해서는 이내 권위주의에 빠지기 쉽다. 「문제의 해답은 현장에 있다」는 신념을 갖고 고객과 협력업체로부터 솔직한 의견을 들을 뿐 아니라 아랫사람이 신바람나게 일할 수 있도록 권한을 주어야 한다. 사회 지도층인사나 기업 경영자부터 아집과 독선의 권위의식에서 벗어나야 한다. 형식적인 권위주의가 사라지고 참된 권위가 존중받는 사회가 바로 선진사회로 가는 길목인 것이다.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