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또 최근 상황이 금융장세에서 실적장세로 옮아가는 시기라고 말한다. 지금까지의 주가 상승세는 낮은 금리에 만족하지 못하는 돈이 주식시장으로 몰렸던 것이 원인이었지만 앞으로는 기업실적이 좋아져 이익이 많이 나는 회사를 중심으로 주가가 오를 것이라는 얘기다.
이처럼 시장을 두부 자르듯 금융장세 실적장세 등으로 나누는 것은 무리가 있지만 초보 투자자들에게는 시장의 큰 흐름을 읽는데는 유용한 분석틀이다.
먼저 금융장세는 불경기가 지속돼 중소기업은 물론 대기업이 도산하고 실업자가 크게 늘어나는 등 경제환경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나타난다.
기업은 매일 돌아오는 어음을 막기 바빠 설비투자는 꿈도 꾸지 못하게 되고 자연히 자금수요도 줄어들게 된다. 정부는 경기부양을 위해 막대한 돈을 풀어 금리가 크게 떨어진다.
이렇게 되면 ‘차라리 은행돈을 빼 주식이나 해보자’는 심리가 퍼져 돈의 힘으로 주가가 오르게 되는 것.
실적장세는 금융장세가 지나고 정부의 경기 부양책이 서서히 효과를 발휘하면서 시작된다. 경제성장률이 높아지면 경제연구소들은 경기가 바닥을 쳤음을 확인해 다음해 경기전망을 상향조정하기 시작한다.
이때 시장은 먼저 설비투자 산업들이 리드한다. 따라서 실적장세의 초기에는 저가 대형주들이 강세를 보이지만 후반에는 히트상품을 낸 중소형주가 각광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실적장세가 지나고 나면 역금융장세가 시작된다. 경기확장이 장기화돼 기업이익이 크게 증가하고 경기가 과열돼 인플레이션 현상이 나타나면 정부는 긴축정책을 편다.
경기가 최고조에 달해 주식시장 여건은 더할 나위없이 좋지만 주가는 몇 차례 고점에 도전한 뒤 하락하기 시작한다. 투자자들은 ‘이렇게 좋은 환경에서 주가가 왜 떨어지나’하는 의문을 풀지 못하는 상황이 계속된다.
마지막으로 나타나는 것이 불황기에 나타나는 역실적장세다. 경기가 악화되고 차입금이 많아 재무구조가 나쁜 한계기업은 적자로 돌아서고 도산하는 상장회사들도 하나 둘 생긴다.
주가가 아무리 떨어져도 투자자들 눈에는 비싸 보인다. 종목에 따라서는 최고치의 3분의 1 수준으로 떨어져도 투자자들이 무자비하게 투매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미국 월가(街)에는 ‘강세장은 비관속에서 태어나 회의(懷疑)속에서 자라고, 낙관속에서 성숙해 행복감속에 사라진다’는 유명한 격언이 전해 내려온다.
경제상황에 따른 주식시장의 움직임을 안다면 초보 투자자들도 한층 성숙해질 수 있을 것이다.
(도움말〓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이종우과장)
〈정경준기자〉news91@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