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 전체적으로는 그렇다 치더라도 증자가 해당기업의 주가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물론 시장상황에 따라 답은 다르다. 기업이 회사규모(자본금)를 늘리기 위한 방법에는 주주들에게 돈을 받고 주식을 나눠주는 유상증자와 돈을 받지 않는 무상증자가 있다.
◆"사자"몰려 주가상승
유상증자의 경우 주주들이 납입한 청약대금의 일부가 자본금이 돼 자본금이 늘어난다. 예컨대 유상증자 주당 발행가가 1만원이라면 회사는 이 중 액면가 5000원을 자본금으로 전입하고 나머지는 운영자금으로 쓴다.
무상증자도 자본금은 늘어난다. 증자 전 회사가 벌어놓은 잉여금(주식발행초과금 재평가적립금 등)을 자본금으로 돌리면서 이 만큼에 해당하는 주식을 기존 주주들에게 지분에 비례해 나눠주는 게 무상증자. 예컨대 잉여금 10억원을 자본금에 넣고 20만주(액면가 5000원 기준)를 무상증자로 배분하는 식이다.
무상증자는 강세장 약세장을 불문하고 대체로 호재가 된다. 왜? 공짜로 주식을 받으려면 무상증자 배정기준일 전에 해당기업의 주식을 사 주주가 돼야 하기 때문. 또 무상증자 후에도 ‘좋은 회사’라는 인식이 확산돼 새로운 수요를 창출, 주가가 오르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유상증자는 좀 다르다. 일반적으로 강세장에서는 호재, 약세장에서는 악재가 된다는 게 정설.
◆약세장선 '악재' 작용
증시상황이 좋을 때는 시세보다 싼 값에 새 주식을 받을 수 있다는 잇점이 커 보이고 증자 후에도 유동물량이 늘어나 거래가 활성화되는게 일반적이다.
반대로 회사내용은 그대로인데 발행주식 수가 늘어남으로써 주당순이익(EPS)이 감소, 주가 하락요인이 될수도 있다는 주장도 있다.
증자계획을 발표한 기업들은 청약률을 높이기 위해 ‘주가관리’에 들어가는 게 보통이어서 이 때를 겨냥한 단기투자도 생각해 볼 수 있다.(도움말〓삼성증권 목동지점 사재훈 주식팀장)
〈정경준기자〉news91@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