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선업체 25곳 성업▼
▽이젠 기술도 상품〓‘기술’도 자동차나 냉장고처럼 자유롭게 사고 팔 수 있게 됐다. ‘기술상품화 시대’가 열린 셈이다.
작년말 ‘기술 이전 촉진법’이 제정된 것을 계기로 기술 거래 알선 업체는 급속히 늘어나 현재 25개나 된다. 연구소가 몰려 있는 대덕단지 주변에는 ‘돈되는 기술’을 잡으려는 기술사냥꾼들이 분주히 돌아다니고 있다. 다음달에는 정부와 민간이 공동출자한 ‘한국기술거래소’가 문을 열 예정이다. 기술 하나로 창업해 돈방석에 올라앉은 벤처기업들의 성공신화가 잇따르면서 기술거래시장은 더 활발해질 전망.
기술거래시장 활성화는 무엇보다 기술에 대한 수요가 폭발하고 있기 때문. ‘기술’은 그동안 변리사나 변호사 사무실에서 특허 관련업무를 처리하면서 중개해온 데 그쳤다. 지난달말 현재 15만4000여건의 특허 가운데 사업으로 연결된 것은 30%에 불과한 것이 지지부진한 ‘기술 상품화’의 현주소를 보여준다. 기술중개회사가 400여개나 되는 미국에 비하면 우리는 뒤늦게야 기술의 상품화에 눈을 뜬 셈이다.
▼개발-투자자 상호이익▼
▽어떻게 사고 파나〓기술을 개발하고도 독자적으로 판로를 못찾은 개인이나 기업은 기술거래소나 민간 기술거래회사를 찾아가면 된다. 기술거래소에는 민간기업이나 정부기관 대학 개인 등 누구나 기술을 등록할 수 있다. 등록된 기술에 대해서는 무상이전에서부터 기업간 거래 알선, 경매 등 모든 거래방식이 동원돼 구매자를 찾는다.
기술거래소측은 “거래소에 축적된 기술평가자료 기업 시장정보 등을 가공해 기술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는 별도로 민간거래업체도 같은 방식으로 거래 알선을 한다.기술의 가격은 어떻게 정해질까. 수익성 시장전망 미래가치 등을 종합해 매겨진다. 기술신용보증기금이나 감정평가원 등 기존의 평가 기관 전문가들도 평가작업에 참여한다.
물론 다른 상품처럼 수요자와 공급자간에 가격 ‘흥정’도 가능하다. 거래소나 업체들은 기술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미완성 기술에 자본을 투자하는 ‘엔젤’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명재기자> mjlee@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