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주가폭락으로 당장 충격을 받는 사람들은 퇴직자들이다. 50대 중반까지 돈을 모아 작은 도시에서 여유롭게 살면서 매년 두세 차례의 여행을 즐기려던 퇴직자들은 요즘 걱정이 태산같다. 이들은 뮤추얼펀드 등 간접투자 상품에 돈을 넣어두는 게 보통이고 일부는 브로커를 통해 주식에 투자한다. 매년 5∼6%, 한국 기준으로 보면 그리 높지 않은 투자수익을 기대했던 이들은 이미 ‘공황상태’를 체감한다. “그나마 다시 일을 할 수 있다면 다행”이라는 더 나이든 퇴직자들의 푸념섞인 말은 심각하기만 하다.
“요즘 미국의 주식 투자자에는 두 가지 부류가 있다. 주식을 다 팔아버린 사람과 아직도 팔지 못한 사람이다.”
주가 폭락기에 그 누가 매도 타이밍을 제대로 잡을 수 있을까. ‘며칠만 더 지켜보고…’ 했다가 대기 비용을 치른 투자자도 많다. 떠나지 못해 증시에 묶여 있는 투자자들이 “침대 매트리스 아래가 더 안전했다”며 후회하는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USA투데이 웹사이트는 ‘투자자의 증시 탈출기’를 공모할 정도다.
주식시장에서 빠져나온 돈들은 어디로 가고 있을까. 요즘같은 ‘베어마켓(약세장)’에서 인기를 끄는 상품은 미국 재무부 인플레보전증권(TIPS)이다. 미 정부 보증인 이 증권은 5년간 연평균 7.98%, 최근 연 9.29%의 높은 수익률을 기록 중이다. 재무부나 브로커를 통해 구입할 수 있고 이곳에 투자하는 뮤추얼펀드를 살 수도 있다.
한국에 본격 도입된 부동산 리츠(REITs)도 인기다. 기업이 아닌 부동산에 투자하는 주식을 사는 셈이다. 쇼핑몰이나 쇼핑센터를 지어 운영하는 리츠는 연수익률 17% 수준이어서 떼돈이 몰린다. 아파트나 사무실에 투자하는 리츠는 덜 좋지만 장기투자시엔 연 10% 수익이 가능하다고 한다. 세를 놓기 위해 주택이나 아파트를 사는 것은 요즘같은 저금리 시대엔 별로 인기가 없다.
‘폭락기의 주식’도 투자대상일 수 있다. 앨런 그린스펀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의 상원 연설이 시작되면서 16일 주가가 회복되고 17일엔 상승세가 나타나 이런 생각을 하는 사람이 더 많아질 것 같다. 그렇지만 ‘바닥을 디뎠다’는 말은 쉽게 나오지 않는 상황이다.
홍권희 뉴욕특파원 koniho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