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섬: 충성도 높은 소수 정예
한섬은 소비자도 가려서 받는다. 경기가 좋건 나쁘건 고가정책을 유지하고 세일도 하지 않는다. 그래도 찾을 고객은 다 찾아온다는 것.
이 회사의 소비자 로열티는 꽤 높은 편이다. 경기가 나빴던 2004년 매출은 2600억 원으로 전년보다 16.6% 늘었다. 경기가 개선된 지난해 매출은 3042억 원으로 전년보다 17.0% 늘었다. 매출이 경기의 영향을 거의 안 받는다는 뜻이다.
반면 더베이직하우스는 모든 계층을 대상으로 한다.
캐주얼 브랜드여서 10, 20대가 즐겨 찾을 것 같지만 30대 이상 고객 비중도 30%에 이른다. 자녀 옷을 사 주려고 매장을 찾은 여성이 남편과 자신의 옷도 산다는 것. 하지만 싼 가격 때문에 한두 번 사 입는 사람이 많아 고객 충성도는 떨어지는 편이다.
두 업체의 점포 운영정책도 정반대다.
한섬은 백화점이 주된 영업망이다. 고급 이미지를 위해 매출액의 28∼30%를 수수료로 백화점에 내면서도 백화점 위주의 영업을 한다. 한섬의 브랜드 파워가 높기 때문에 백화점에 내는 수수료는 다른 의류업체에 비해 2%포인트가량 낮다.
이 회사의 영업이익률(인건비, 마케팅비, 백화점 수수료 포함)은 18∼20%로 다른 여성 의류업체(평균 6∼8%)보다 훨씬 높다.
○ 더베이직: 부담없이 누구나 모두
반면 더베이직하우스는 백화점에 들어가지 않는다. 오로지 길거리 숍을 고집한다.
이유는 각 지역의 핵심 상권에 100평대 넓은 매장을 갖는 게 저가브랜드의 경쟁력이라고 보기 때문. 어린이부터 장년까지 폭넓은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옷을 집어넣고 ‘골라’ 사게 한다.
더베이직하우스의 영업이익률도 15%나 된다. 한섬과 달리 ‘쓸데없는 영업비용’을 쓰지 않고 해외 생산을 통해 원가를 뚝 떨어뜨렸기 때문이다.
이 회사는 물건을 생산한 뒤 원가에 마진을 붙여 물건값을 정하지 않고 시장에서 팔릴 만한 가격을 먼저 정한 뒤 해외에서 싼 원단과 노동력을 구해 제품을 만든다.
사실 한섬은 해외생산을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구조다. 고가 여성의류는 디자인뿐만 아니라 원단, 끝마무리에서 제품의 경쟁력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잘나가는’ 두 회사지만 현재 도전에 직면해 있다.
한섬은 오래된 브랜드에 너무 의존해 성장동력을 찾아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더베이직하우스는 ‘마인드브릿지’ ‘볼’ 등 새로 내놓은 브랜드가 돌풍을 일으킬지 관심을 끌고 있다.
하임숙 기자 artemes@donga.com
○ 한섬, 이 점이 포인트 지난해 하반기부터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의류 소비의 최대 수혜주다. 브랜드별로 매출이 두 자릿수 성장을 하고 있다. 충성도 높은 고객층이 두껍고 세일을 하지 않는 정책으로 브랜드 관리를 가장 잘 하고 있다.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2만4000원.(서울증권 강희승 연구원)
○ 더베이직하우스, 이 점이 포인트 전체 생산량의 90%를 해외에서 들여온다. 품질과 가격에서 경쟁력을 갖췄다. 단일 브랜드 기준 국내 최대 디자인 인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상품 기획력이 뛰어나다.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2만7000원에서 하향 조정 중이다.(부국증권 최상도 연구원)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