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같은 사실은 본보 법조팀과 순천향대 신문방송학과 이민규(李珉奎)교수팀이 국내 언론사상 최초로 ‘컴퓨터 활용보도(CAR·Computer Assisted Reporting)’기법을 이용, 92년 이후 전국 모든 검사의 출신지역 등 개인신상과 보직추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해 3개월간에 걸쳐 정밀 분석한 결과 밝혀졌다.
분석결과 호남출신 검사들은 92년 8월부터 가장 최근인 7월 인사 때까지 전체검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9∼22%로 거의 일정했다.
그러나 호남출신 검사들은 노태우(盧泰愚) 김영삼(金泳三)정권 등 영남 정권하에서 전국 주요 부장검사급 이상 핵심요직 44∼48개 중 2∼7개(5∼15%)만을 차지해 불이익을 받아온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들은 정권교체 후 대거 약진해 98년 첫 인사에서 핵심요직 12개(25%)를 차지했으며 7월 인사에서는 16개(33%)로 더욱 늘었다.
핵심요직은 법무부 검찰국과 대검의 공안부 중앙수사부, 서울지검 등의 주요 과장과 부장급 이상, 일선 지검의 공안부장 특수부장 및 주요 지청장 등을 대상으로 선정했다.
▼관련기사▼ |
영남출신 검사들은 정반대의 양상을 보였다. 이들도 전체검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38∼41%로 큰 변화가 없었는데 핵심요직 점유율은 영남정권하에서 50∼57%를 차지, ‘초과혜택’을 누려오다가 새 정부 출범 후에는 21∼35%로 ‘몰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현상은 검찰의 ‘별’로 불리는 검사장급 이상 고위간부 39∼40명과 일선검사 사이에서 선호도가 가장 높은 법무부 대검 서울지검 본청 등 재경(在京) 검사(202∼261명)를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고위 간부의 경우 호남출신은 이전 정권하에서 15∼18%를 차지했으나 정권교체가 이뤄진 뒤에는 20∼30%를 차지하고 있다. 영남출신 검사장 비율은 옛 정권에서는 최고 46%까지 달했으나 7월 인사에서 40%로 낮아졌다.
재경 검사들은 호남출신의 경우 17∼19%에서 24∼27%로 늘어난 반면 영남출신 검사들은 34∼41%에서 31∼39%로 낮아졌다.
검사출신의 한 변호사는 이에 대해 “검찰의 인사가 권력이동에 따라 차별과 역차별, 지역편중의 악순환을 되풀이하고 있다는 증거”라며 “여론의 주목 때문에 비교적 신중한 검찰인사가 이 정도라면 다른 권력기관은 더 심각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수형기자>sooh@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