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마당]안희수/수능 핵심은 난이도 아닌 석차

  • 입력 2001년 11월 16일 18시 07분


두 차례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출제위원장을 맡았던 본인으로서 이번 2002학년도 수능이 끝나고 일어나는 온갖 여론의 향방에 우려를 금할 수 없다.

첫째로 논의하고 싶은 것은 수능의 성격에 관한 것이다. 한마디로 수능은 상대평가를 목적으로 하는 잣대다. 각종 자격시험과 같이 어느 수준 이상의 사람에게만 합격을 인정하는 시험은 절대평가의 의미가 강하며, 일정한 인원을 정해 놓고 선발을 목적으로 치르는 시험의 경우는 상대평가의 의미가 강하다. 따라서 개개인의 절대적인 점수가 높고 낮음은 별 의미를 가지지 않고 전체에서 자신의 석차(상대점수)가 문제인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수능의 난이도는 논란의 대상이 아니라고 본다. 다만 현실적으로 수능의 출제방향이라든가 적당한 난이도 수준은 고교 교육에 직간접으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출제에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 수능 출제위원단 구성의 문제다. 이번에도 어김없이 출제위원단에 대한 회의적인 논쟁이 일고 있다. 즉, 수백 명의 출제위원들을 한 달씩이나 감금하면서 이런 정도의 출제밖에 못하느냐 하는 질책이 쏟아지고 있다. 이것은 그 대안을 찾을 때까지 계속될 난제라고 생각한다. 다만 인원수를 줄인다거나 기간을 단축하는 등의 개선방법은 더 연구해야 할 사항이다. 출제위원단을 해체하고 상설 출제기구를 만든다든가, 문제은행식으로 바꾼다든가 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라고 생각한다.

셋째, 수능의 기능적 역할에 대한 논의다. 이미 많은 대학에서는 수능의 변별력 내지는 효능에 대한 불신 때문에 다른 형태의 입시 틀을 개발해 실시하고 있다. 이것은 교육의 다양화와 국제화 시대에 맞추어 국민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국가적으로도 권장되고 있는 방법임을 잘 알고 있다.

따라서 입시에서 차지하는 수능의 영향력을 줄이도록 난이도를 어느 정도 낮추어 쉽게 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출제에 임하는 출제위원들도 그러한 국가와 사회적 요구를 잘 반영한 문항 제작에 오랜 시간과 노력을 기울여오고 있다. 수능의 난이도가 예상했던 것에서 벗어났다고 해 수능의 무용론을 들고 나온다든가 하는 것은 본질을 벗어난 것이다.

넷째, 여론을 형성하는 데 수능의 본질을 왜곡하고 지나치게 과민한 표현으로 국민을 불안하게 하는 것은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출제가 끝난 후 출제위원들의 수고에 대한 위로의 말은 어디서도 들을 수 없어 서운했다.

마지막으로, 출제 문항에 대한 질적인 평가가 우선되어야 하며 난이도에 대한 논쟁은 이제 삼갔으면 한다. 난이도에 대한 논쟁을 잠재울 수 있는 대안은 이미 수능결과 발표에서 사용하고 있는 표준점수만을 이용하는 것이다. 처음 표준점수가 제안되었을 당시 일부 학생이 손해볼 수 있다는 논리로 반대하는 의견도 있었다. 그러나 결국 표준점수만이 이러한 난이도 논란을 잠재울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라고 생각한다.

안 희 수(200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위원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