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의 성장을 촉진하고 질병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항생제가 육류를 통해 인체에 흡수되면 항생제 내성을 유발해 질병의 확산을 부를 수 있다는 우려는 학계에서 오래전부터 제기돼 왔다. 가축의 70% 이상에 대해 항생제를 사용하는 미국은 식품의약국(FDA)에서 특정 계열의 항생제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미국보다 심각하면 심각했지 나은 상황이 아니다. 축산물 잔류항생제 위반율이 올해 0.25%까지 높아졌다.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사용된 항생제는 160만 kg인데, 이 중 40%는 농가에서 항생제가 섞인 배합사료를 가축에게 먹이는 등의 방식으로 임의 사용된 것이라고 한다. 선진국처럼 배합사료를 만들 때 항생제를 섞어 제조하는 것을 금지하고, 약품이 필요할 경우 수의사의 처방을 받아 먹이는 방식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영국의 유기농식품협회는 가축의 무분별한 항생제 남용이 광우병보다 무서운 질병을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그렇다고 무조건 항생제 사용을 금지할 수 없는 것 또한 현실이다. 학계와 제약업계는 인체에 무해하면서 동물에게도 안전한 치료제 개발을 서둘러야 하며 정부도 가축 사육 농가에 대한 홍보 등 대책을 세워야 한다.
한세현 경북대 수의과대 대학원생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