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은 한자표기가 없기 때문에 과거 중국어로는 한성(漢城), 영어로는 ‘Seoul’, 일본어로는 ‘ソウル’라 불렀다. 이번에 우리가 首이라는 한자를 써서 서울을 칭해 달라는 부탁을 한 셈이다. 문제는 중국어 발음만을 고려했지 그것이 서울의 한자명이 돼 버린다는 점은 생각지 못했다는 데 있다.
근본적인 해결책은 한자의 꼴을 바꾸거나 아예 새로 만들어 내는 것이다. 한자는 본래 ‘해, 달, 옷, 칼’ 등의 모양을 그려 ‘日(일), 月(월), 衣(의), 刀(도)’ 자들을 만들었고 언덕 위에 지은 큰 집이 ‘京(경)’인데 이런 집이 많은 곳이 큰 도시 ‘서울 京’이 되었다. 일본인들은 자신들의 구미에 맞게 고친 畑(전), 峠(상) 등 50여 자를 국자(國字)라 부른다. 한국의 조(曺)씨들은 曹(고을 조)를 빌려 쓰면서 자긍심을 지키기 위해 한 획을 빼 曺(성 조)로 만들었다. 답(畓)자를 만든 우리 조상들의 독창성도 본받을 만하다.
이렇듯 ‘서울’도 한자를 만들 수 있다. ‘서울 서’와 ‘서울 울’이라는 한자를 만들면 되는 것이다. 가령 서울 서(x)는 기둥 셋인 京을 넷으로 바꾸어 만들고, 남산과 한강에서 뜻을 따 山과 水를 상하로 합해 서울 울(w)자를 만든다면 어떨까. 처음엔 생소해 보이나 중국의 간체자에는 y(조) 奪(탈) 婦(부) 歸(귀) ”(골) 등 야릇한 글자가 얼마든지 있다.
이들 ‘xw’ 두 자는 중국이나 일본에도 없는 한국의 고유 한자가 될 것이다. 일본인은 x는 ソウ, w은 ル라 하고, 중국인은 x는 shou, w은 er이라고 읽을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하나의 예일 뿐, 우리 국민은 더욱 참신한 한자를 만들 수 있다.
양동숙 숙명여대 교수·중문학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