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와 부산시가 한치의 양보도 없는 힘 겨루기를 하면서 관련 인사들과 지역여론이 양분된 데다 박재윤(朴在潤) 총장의 단식농성으로 사태가 더욱 악화돼 결론이 어떻게 내려지든 심각한 후유증을 겪게 될 것으로 보인다.
부지 선정의 ‘칼자루’를 쥐고 있는 교육인적자원부는 10일까지 결정하겠다고 밝혔지만 그동안 양측의 눈치만 보느라 갈등의 골을 더욱 깊게 만들었다는 비난을 사고 있다.
▽제2캠퍼스 조성의 필요성〓부산대는 학생 1인당 시설면적이 3.9평으로 전국 9개 주요 국립대 중 최하위이며 서울대(7.2평)의 절반 수준.
이 때문에 강의실과 연구실이 부족해 기자재를 복도에 쌓아 두고 있으며 첨단장비를 새로 들여오는 것은 아예 생각도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부산대는 76년부터 25년간 6차례나 제2캠퍼스 조성을 추진했지만 학내외 반발로 모두 무산됐다.
그러다 99년 박 총장 부임 후 경남 양산시 물금읍 양산신도시에 2009년까지 2700억원을 투입해 의대 치대 공대 등을 이전키로 결정하고 2000년 7월 교육부에 승인을 요청했다.
▽부산시와 부산대의 대립〓부산대가 제2캠퍼스 부지를 양산신도시로 정하자 시는 “캠퍼스가 시외에 조성되면 지역경제의 위축과 고급 인력의 역외 유출이 심각해진다”며 반대입장을 밝히고 기장군 일광면 삼성리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시는 양산신도시 후보지가 현재의 본교 캠퍼스보다 1.5배가량 넓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부산대의 상당 시설이 이전될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부산대는 “부지 선정은 대학이 학문적인 필요에 따라 주체적으로 행해야 하는 것이며 자치단체가 정치적인 목적으로 부지 선정 과정에 개입하는 것은 대학의 자율성을 침해하는 것”이라며 반발해왔다.
또 양산신도시 부지 34만평 중 12만평은 산학협동단지여서 시의 우려처럼 대학의 대부분이 이전하는 일은 절대 없으며 4000명 정도만 옮겨가기 때문에 부산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꼬여만 가는 상황〓부산대와 시는 2000년 7월 이후 이 같은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더구나 시는 지난해 11월부터 공조직과 부산시보 등을 통해 양산이전 반대운동을 대대적으로 펼쳐 부산대와 감정의 골이 더욱 깊어졌다.
여기에 부산대 총학생회도 지난해 9월 학생들을 대상으로 투표를 실시해 76%가 양산신도시 이전을 반대한다는 결과를 내놓았으며 지난달 21일부터 총장실을 점거해 농성을 벌이고 있다.
반면 부산대교수회는 지난해 6월 투표를 통해 60%가 양산신도시를 찬성했으며 지난달 13일에는 교수 80여명이 시청 등을 항의 방문하는 등 교수 학생 시 등이 각자의 목소리만 높이고 있다.
▽교육부의 미온적인 태도〓교육부는 지난해 1월 양산신도시와 기장군에 대해 실사단을 파견해 현장조사까지 벌였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한때 교육부의 방침이 양산신도시 쪽으로 기울어진 것으로 알려졌으나 지난달 시와 부산 출신 국회의원 등이 항의 방문하는 등 강하게 반발하자 부지 선정 최종시한인 지난해 말을 넘겼다.
지난달 27일에는 의대와 치대만 이전하는 합의안을 양측에 제시했지만 부산대의 거부로무산됐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
▼지난 관련기사▼ |
부산대 부지 후보 비교 부산대 입장 부산시 입장 위치 경남 양산시 물금면 부산시 기장군 삼성리 규모 34만평 49만평 용도지역 택지개발지구 주거지역 개발제한구역(해제 예정) 평당조성비 부산시 주장 38만원 16만원 15만원 32만원 부산대 주장 지형 평지 산지 접근도로 경부고속도로, 양산∼대동고속도로국도35호선, 지하철2호선 국도14호선, 국도31호선동해남부선철도 사유자 없음 300여명 장점 접근성 양호, 본교와 가까운 거리완전평지 부산시내 위치, 부지매입비 저렴기장군 발전 단점 부지매입비 고가, 부산시 밖 위치,연약지반 토지소유자 다수, 개발제한구역,접근성 불량, 산지
<부산〓석동빈기자>mobidic@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