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일 먼데이]모친 3년상 치르는 시의원 강태희씨

  • 입력 2003년 1월 19일 17시 41분


어머니의 3년상을 치르고 있는 강태희씨가 휴일인 19일 새벽에도 상복 차림으로 어머니의 묘소를 찾아 예를 올리고 있다. -고양=이동영기자
어머니의 3년상을 치르고 있는 강태희씨가 휴일인 19일 새벽에도 상복 차림으로 어머니의 묘소를 찾아 예를 올리고 있다. -고양=이동영기자
휴일인 19일 새벽 강태희씨(74·경기 고양시 덕양구 신도동)는 상복과 굴건 차림으로 걸어서 15분 거리인 어머니의 묘를 찾았다. 강씨는 두 번 절하고 나서 정성스러운 손길로 묘 주변을 손으로 쓰다듬었다. 마치 어머니께 밤사이 안부를 묻는 듯했다.

강씨가 이렇게 어머니 묘에 출근하다시피 시묘(侍墓)하기는 1년7개월째. 고양시 의회 재선 의원인 그는 의회 일정으로 두 차례 출장 갔던 나흘 동안에만 현지에서 묘가 있는 쪽을 향해 망배(望拜)를 올렸을 뿐 단 하루도 거른 적이 없다.

집으로 돌아오자 부인 이계호씨(69)가 제단에 벌써 상식(上食)을 차려놓았다. 식구들이 아침을 들기 전에 고인께 먼저 음식을 올려야 한다는 게 부모에 대한 예의라는 생각에서다.

묘에서 어머니를 모셔온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눈 오는 날이면 집에서 묘에 이르는 길을 깨끗이 치우는 것도 70대의 강씨가 행하고 있는 ‘3년상’의 일부다.

18대째 고양시에서 살고 있는 강씨는 6·25전쟁 중 부역자에 의해 희생된 부친의 3년상도 이런 방식으로 치렀다.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부친과 합장했다.

그는 전쟁 이후 이 지역에서 문맹퇴치운동과 개발제한구역 권리회복운동 등 지역 발전을 위한 일에 봉사하느라 정작 집안을 제대로 돌보지 못해 어머니의 고생이 컸다고 회고했다.

고양시 그린벨트 권리회복 추진위원회 위원장으로도 일하는 그는 ‘바쁜 일상을 고려한다면 다소 지나친 예절이 아니냐’는 질문에 이렇게 답변했다.

“제가 치르는 3년상은 효도나 예절이 아닙니다. 6남매를 어렵게 키우시느라 갖은 고생을 다하시는 동안 장남으로서 도리를 다하지 못했던 데 대해 사죄를 드리고 스스로 반성하려는 것일 뿐입니다.”

그는 음력 초하루나 보름인 삭망(朔望) 때면 음식을 평소보다 조금 낫게 차리고 형제를 비롯해 후손들을 불러모아 함께 예를 갖추게 하기도 한다.

초상을 당한 지 만 1년만에 올리는 제사인 소상(小祥)을 치렀고 그로부터 1년 뒤 올리는 대상(大祥)까지 치르면 3년상의 절차는 모두 끝난다. 대상은 6월로 이제 5개월도 채 남지 않았다.

“무심한 세월은 빨리도 지나가네요. 때가 되면 상복은 벗겠지만 생전에 불효했다는 마음의 짐은 어딜 가겠습니까. 자손들 잘 보살피고 지역 주민들을 위해 더 봉사하는 것으로 불효를 대신하려 합니다.”

고양=이동영기자 argu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