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갈피 속의 오늘]1949년 무초, 초대 주한美대사 승격

  • 입력 2009년 3월 23일 02시 56분


美의회서 北남침 경고

한미 양국에서 대사를 지낸 11명의 비망록이 미국에서 출간됐다는 기사를 보고 한국을 거쳐 간 미국 외교관이 누구누구인지 궁금했다.

주한 미국대사관의 홈페이지를 보면 미국이 한반도에 보낸 첫 대사는 루이스 푸트이다. 한미수호통상조약을 체결한 이듬해, 그러니까 1883년 5월부터 1885년 1월까지 특명전권공사로 근무했다. 이후 5명이 대리공사, 공사, 총영사로 파견됐다.

조선이 1905년 제2차 한일협약(일명 을사늑약)으로 외교권을 잃으면서 미국과의 외교관계도 끊어졌다. 일제가 패망하자 미국은 군정을 실시했고 1946년부터 윌리엄 랭던과 조지프 제이컵스 등 총영사 2명을 보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첫 미국 대사는 존 무초.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1921년 미국에 귀화한 뒤 홍콩과 중국에서 근무한 극동문제 전문가였다.

부임일은 정부 수립 이틀 뒤인 1948년 8월 17일. 한국에는 8월 23일 도착했고 이틀 뒤에 이승만 대통령을 예방했다. 외국사절로는 처음이었다.

당시 신문에 ‘駐韓(주한) 美國大使(미국대사) 존 B 무이초氏(씨)’로 나오는데 두 가지가 틀렸다. 이름 중간의 이니셜은 B가 아니라 J이며, 주한 미국대사가 아니라 한국 주재 최고대표였다. 1949년 3월 23일 초대 미국 대사로 승격됐고 다음 달 취임했다.

무초 대사는 1950년 6월 초순 미국의회 증언에서 38도선 부근 공산군에 의한 절박한 위협을 경고했다. 전쟁이 일어난 날에는 워싱턴에 긴급전화를 걸어 “북한과 그 동맹국들이 대한민국에 전면적인 공격을 시작했다”고 보고했다.

수원 대전 대구 부산으로 한국 정부를 따라 움직일 때 이승만 대통령을 자기 차량에 태워 피신시킨 일화가 있다.

한국을 떠나던 1952년 10월에 그는 52세의 노총각이었다. 동아일보는 9월 7일자에 ‘무 大使離任(대사이임)을 哀惜(애석)함’이란 제목의 사설을 게재했고 서울시는 미국 대사관이 있던 반도호텔(현 롯데호텔) 앞길에 武楚路(무초로)라는 별명을 붙이기로 했다.

그는 국군의 날 기념행사에 초청받아 1973년 9월 28일 서울을 찾았다. 부인 실러 여사가 동행했는데 ‘무 대사’가 한국 근무를 마치고 도쿄를 거쳐 미국으로 돌아가는 길에 만났다. 스물세 살이나 어린 여성을 어떻게 꼬여 결혼하고 2남 2녀를 낳았을까.

송상근 기자 songmoo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