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진우 칼럼]北의 ‘쪼꼬만 병사’ 그리고 찔레꽃

  • 입력 2008년 7월 26일 03시 01분


금강산 관광길에 나선 남한 관광객이 북한 초병(哨兵)이 쏜 총에 맞아 숨졌다는 뉴스를 듣는 순간 불현듯 뇌리에 떠오른 것은 10년 전, 금강산을 찾았을 때 본 ‘쪼꼬만 북한 병사’였다. 금강산 아랫마을 온정리로 가는 길에는 철조망 뒤로 북한 군인들이 띄엄띄엄 헐벗은 나무마냥 서 있었다. 그중에서도 한 병사가 유독 내 눈을 사로잡았다. 160cm나 될까, 키는 작았고 몸피는 가늘었다. 낯빛은 까맸다. 열일고여덟이나 됐을까, 못 먹어서 못 자란 소년병 같았다. 마음이 아팠다.

“어드메 와서 개판이네”

이튿날 해금강 관광에서 돌아오던 길에 전날의 감상(感傷)은 서늘해졌다. 검문소를 지나는데 강파른 몸에 눈매가 사나운 병사가 호루라기를 불고 야단이었다. 일렬로 서라는 거였다. 들리지는 않았지만 입 모양새로 보아 욕설을 내뱉는 것 같았다. “돈푼깨나 만진다고 어드메 와서 개판이네.” 나는 한마디 하고 싶었다. “이보게 젊은 친구, 관광길에 한 줄이면 어떻고, 두 줄이면 어떤가.” 그러나 마른 침을 삼켜야 했다. 씁쓸했다.

1998년 11월 금강산 관광이 시작된 첫해의 풍경이다. 10년이 지났다. 그동안 192만4824명이 다녀왔고, 관광 대가로 북측에 4억8602만 달러를 지불했다(2008년 6월 말 현재). 그 사이 어느 주부 관광객이 북한 여성관리원에게 ‘귀순 공작’을 했다는 엉뚱한 이유로 억류되는 등 크고 작은 사건 사고가 잇따랐지만 2002년 6월 제2연평해전 때에도 금강산 관광은 끄떡하지 않았다. 금강산 관광은 김대중-노무현 정부에는 ‘햇볕정책의 옥동자’였고, 평양 정권엔 ‘달러벌이의 황금 창구’였다.

그러던 금강산에서 총성이 울렸다. 중학교 동창들과 관광을 온 한 평범한 주부가 두 발의 총탄을 맞고 쓰러졌다. 새벽에 해돋이 구경을 나와 허술하기 짝이 없는 출입금지 구역을 넘었다가 횡액(橫厄)을 당한 것이다. 그 후 보름이 지났지만 사건 경위가 명확히 알려진 건 없다. 피격 시점, 피격 지점에서부터 모든 게 의문투성이다. 달라진 게 있다면 사건 직후 유감이지만 책임은 남측에 있다며 억지를 부리던 북측이 입을 다무는 대신 몇 다리 건넌 대북(對北) 소식통들이 ‘우발적 사고’임을 내세우고 있다는 점이다.

“열일곱 살짜리 신참 여군이 쐈다.” “어느 쪼꼬만 병사가 저지른 우발 사건이다.”

쪼꼬만 병사? 뉴스를 들으며 떠올렸던 10년 전 북한 병사의 모습이 신문 활자 위로 겹쳐졌다. 수많은 북한주민을 기아와 죽음, 탈북(脫北)과 유랑으로 내몬 ‘고난의 행군’(1996년)이 언젯적인데 여전히 ‘쪼꼬만 병사’라니! 먹지 못해 제대로 자라지 못한 ‘쪼꼬만 병사’에게 비무장의 남한 관광객을 등 뒤에서 쏘라고 하는 것이 ‘선군(先軍) 정치’란 말인가. 그러면서도 ‘우리 민족끼리’인가. 우발 사건이라고 치자. 그러나 우발에도 원인은 있는 법이다. 원인은 인간을 비(非)인간화하는 김정일 체제에 있다.

“밥은 잘 먹느냐?”

비인간화의 근원이 굶주림에 있다는 사실은 참혹하다. 정도상의 연작소설 ‘찔레꽃’(창비)은 굶주림을 강요하는 체제가 인간을 어디까지 참혹하게 만드는지를 생생히 보여준다.

함흥 음악학교 재학생인 충심은 점심때마다 ‘대동강 맥주’병에 담아온 나물죽을 먹어야 한다. 어머니는 돼지공장에서 일하고 아버지는 병에 걸려 ‘강대나무처럼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