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 왜 남자들한테만 일을 해야 한다고 그러십니까? 요즘 점심 때 시내 음식점에 한번 가 보세요. 맛있는 것은 부인들끼리 모여 앉아 다 먹고 있지요. 그런데 왜 남자들에게만….”
얼마 전 노후 설계 관련 강의장에서 한 남성 참가자에게서 들은 말이다.
지금 같은 인생 100세 시대에는 모자라는 노후자금 때문에도 그렇지만 퇴직 후 30∼40년 동안의 보람 있는 삶을 위해서라도, 수입을 얻는 일이든, 취미 활동이든, 사회공헌 활동이든 일을 갖는 게 중요하다. 가장 확실한 노후 대비는 평생 현역이다. 이런 취지의 강의를 했는데 듣는 분들의 입장에서는 답답한 마음이었던 것 같다. 누가 일을 하기 싫어서 안 하는가? 집에 있는 아내들은 남편들의 이런 답답한 심정을 알고나 있는가? 이런 심정이었을 것이다.
많은 남성이 정년퇴직을 하고 나면, 그동안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지 못했던 아내와 외식도 하고 여행도 하며 오순도순 정답게 노후를 보낼 수 있을 거라는 기대를 품는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는 것을 금세 깨닫게 된다. 아내는 더 이상 남편만 바라보는 해바라기가 아니기 때문이다. 밖에 나가 친구들과 모임을 갖거나 이런저런 취미를 즐기느라 바쁘다. 이런 아내들에게 섭섭한 마음이 들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그런데 남편들에게만 평생 현역을 말하면 화가 날 만도 하다.
따라서 아내들은 다른 무엇보다도 상실감에 빠져있는 남편들을 위로하고 용기를 갖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돈이 되든, 안 되든 남편들이 몰두할 수 있는 일을 갖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아내들이 해야 할 일 중 특히 중요한 것은 남편들이 어떤 일을 하더라도 남의 눈을 의식함이 없이 긍지를 갖고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일일 것이다.
남편들 또한 노후 생활에 대한 부부의 생각 차이를 인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 직장에서 힘들게 일하다가 퇴직을 했는데 ‘삼식이’니 ‘영식이’니 하는 조롱 섞인 말을 들으면 화도 나겠지만 좀 더 냉정해질 필요가 있다. 실제로 미래에셋은퇴연구소의 조사 결과를 보면, 남편의 60% 정도는 하루의 절반 이상을 아내와 같이 있고 싶어 한 반면, 남편과 같은 생각을 가진 아내의 비율은 30%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아내들은 힘든 직장생활을 하다가 퇴직해서 돌아온 남편들을 왜 그렇게 부담스럽게 생각하는 것일까.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100세 시대가 되면서 퇴직 후에 부부 단둘이만 사는 시간이 늘어난 것도 무시할 수 없는 이유일 것이다. 종래에는 자녀를 여럿 낳는 데다 수명도 짧고 손자손녀를 봐 주기도 해야 하기 때문에, 자녀가 독립한 후, 남편과 아내 단둘이만 사는 시간이 매우 짧았다. 서울대 한경혜 교수는 2013년 ‘부부 단둘이 사는 시간이 1.4년’에 불과했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그런데 자녀를 적게 낳는 데다 수명까지 늘어난 오늘날에는, 부부 단둘이만 사는 시간이 20년 넘게 늘어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역사상 그런 경험이 없다. 단둘이 사는 데 대한 노하우가 없다는 것이다.
또한 남편과 아내의 은퇴관의 차이가 우리나라에만 나타나는 현상인 것도 아니다. 이웃 나라 일본도 마찬가지라고 한다. 일본의 은퇴 전문가 오가와 유리가 2014년 ‘일본의 인기 있는 은퇴 남편 1순위’를 소개한 자료에 의하면, 가장 인기 있는 남편은 집안일 잘 도와주는 남편, 건강한 남편, 요리 잘하는 남편, 상냥한 남편 중 그 어느 것도 아니고 ‘집에 없는 남편’이라는 것이다.
한국 남편들도 부부의 생각 차이를 인정해야 하지 않을까. 남편은 아내와 함께 인생 2막을 꿈꾸는 경우가 많은 데 비해, 아내는 가정으로부터의 자유를 꿈꾸는 경우가 더 많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남편들은 퇴직 후 ‘나만의 시간’을 기획하고 준비해야 한다. 재취업해서 수입을 얻는 일이든, 자기실현 활동이든, 사회공헌 활동이든, 체력이 허용하는 한 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끝>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