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인디아나존스들]천마총 금관에 손을 뻗는 순간… 하늘이 울기 시작했다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10월 5일 03시 00분


<17> 천마총 발굴한 지건길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이사장

지난달 27일 경북 경주시 천마총 앞에서 지건길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이사장이 43년 전 발굴 당시를 회고하고 있다. 경주=장승윤 기자 tomato99@donga.com
지난달 27일 경북 경주시 천마총 앞에서 지건길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이사장이 43년 전 발굴 당시를 회고하고 있다. 경주=장승윤 기자 tomato99@donga.com
 “광복 이후 ‘3대 발굴’에 모두 참여한 건 제게 엄청난 행운이었습니다.”

 지난달 27일 경북 경주시 천마총 앞에 선 지건길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이사장(73·전 국립중앙박물관장)은 푸른 뗏장을 입은 고총(古塚)을 바라보며 40여 년 전의 기억을 떠올렸다. 1971년 무령왕릉을 시작으로 1973년 천마총, 1988년 창원 다호리 고분까지 3대 발굴에 모두 참여한 그는 한국 발굴사의 산증인으로 통한다. 그는 “졸속으로 진행된 무령왕릉 발굴을 반면교사로 삼아 천마총은 제대로 발굴하려고 애썼다”고 술회했다.

○‘정말 하늘이 노(怒)한 것인가…’

천마총에서 발굴된 금관은 광복 이후 처음 출토된 신라시대 금관이다.
천마총에서 발굴된 금관은 광복 이후 처음 출토된 신라시대 금관이다.
 1973년 7월 초순 천마총 발굴 현장. 저녁 어스름이 깔릴 무렵 바쁘게 움직이던 조사원들이 일손을 잠시 멈추고 숨을 죽였다. 목관 머리부분에서 영롱하게 빛나는 노란색 금속이 모습을 드러냈다. 광복 이후 우리 손으로 처음 건져낸 신라 금관이었다. 금관총이나 서봉총 금관은 일제강점기 일본 고고학자들이 찾아냈다. 관테부터 영락까지 흙에 묻힌 금관 전체를 대칼과 붓으로 노출시키는 데 5시간이 걸렸다. 지건길(당시 문화재관리국 학예연구사)은 “내 인생에서 처음이자 마지막 신라 금관 발굴이었다. 황홀경 그 자체였다”고 회고했다.

 영물(靈物)을 건드리면 천기운행도 상서롭지 않게 되는가. 금관을 들어올리기 직전 천둥, 번개를 동반한 폭우가 쏟아져 내리기 시작했다. 그해 여름 경주에 극심한 가뭄이 들어 이날도 종일 하늘이 쨍쨍하던 터였다. 강풍으로 봉분 위에 쳐놓은 텐트가 날아가려고 해 조사원 여럿이 붙들고 간신히 버텼다. 불현듯 그의 머릿속에 2년 전 무령왕릉 발굴이 떠올랐다. “그때도 낮엔 맑았는데 야간 발굴 때 갑자기 폭우가 쏟아졌어요. 무령왕릉 내 연도를 따라 석실 안으로 들어차는 물을 빼내려고 조사원들이 사투를 벌였습니다. 무덤 발굴이 왕의 넋을 노하게 한 건가 싶었지요.”

 그런데 신기하게도 금관을 나무상자 안에 옮겨놓자마자 뇌우는 언제 그랬느냐는 듯 뚝 그쳤다.

○ 발굴 초창기 열악한 환경

천마총 내 부장궤 안에서 발견된 천마도 말다래. 신라시대 채색화로는 처음 출토됐다.
천마총 내 부장궤 안에서 발견된 천마도 말다래. 신라시대 채색화로는 처음 출토됐다.
 천마총 발굴은 최대 규모의 적석목곽분인 황남대총 발굴에 앞서 기획된 일종의 테스트베드였다. 박정희 정부의 경주관광종합개발계획에 따라 황남대총 발굴이 결정되자 당시 문화재위원회와 김정기 발굴단장은 “황남대총의 규모와 중요성에 비해 발굴 경험이 일천하니 이보다 작은 천마총을 먼저 발굴하자”고 제안했다. 이로써 1970년대 국책 발굴사업의 본격적인 서막이 열렸다. 초창기였던 만큼 작업 환경은 매우 열악했다.

 지름 60m, 높이 13m에 이르는 거대 봉분의 흙을 퍼내는 것부터 고역이었다. 굴착기나 컨베이어벨트와 같은 기계를 동원할 수가 없어 드럼통을 반으로 쪼갠 뒤 이를 이어 붙인 관로(管路)를 직접 만들었다. 봉분 꼭대기에서 삽으로 퍼낸 흙을 관로로 흘려보내는 식이었다. 지건길은 “그때의 원시적인 작업 광경을 요즘 고고학자들은 상상할 수도 없을 것”이라고 했다.

○ 1500년을 품은 천마도의 신비한 색(色)

1973년 천마총 발굴팀이 천마도가 그려진 말다래를 현장에서 수습하고 있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1973년 천마총 발굴팀이 천마도가 그려진 말다래를 현장에서 수습하고 있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무덤 이름이 천마총이 된 것은 목제 부장궤 안에서 ‘천마도(天馬圖)’가 그려진 말다래(말을 탈 때 흙이 다리에 튀지 않도록 안장 밑에 늘어뜨리는 판)가 발견됐기 때문이다. 지건길이 천마총에서 출토된 유물 중 최고로 꼽는 천마도는 처음 발견된 신라시대 채색화다. 그는 “외부 공기에 닿아 변색이 일어나기 직전의 천마도는 너무도 생생한 빛깔을 담고 있어서 깜짝 놀랐다”고 말했다.

 천마도는 보존 처리까지 만만치 않은 과정을 거쳤다. 유물 수습과 동시에 아직 부식되지 않은 부장궤 일부 나무판재를 약품 처리했다. 김유선 한국원자력연구소 부소장의 조언에 따라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을 가열해 녹인 뒤 붓에 묻혀 판재에 꼼꼼하게 발랐다.

 부장궤 내부 상황은 더 까다로웠다. 금동장식의 말다래 밑에 자작나무로 만든 말다래 두 겹이 깔려 있었다. 오랜 세월 돌에 눌린 채 맞물려 있는 말다래들을 훼손하지 않고 안전하게 분리하는 것이 관건이었다. 처음에 말다래 사이에 합판을 넣으려다 실패했지만 함석판을 끼워 넣어 가까스로 분리했다. 수습 이후 박물관에서 시행한 보존 처리도 자외선 차단용 커버를 씌우고 30분 간격으로 가습을 하는 등 온갖 정성을 기울였다.

 하루 만에 발굴을 끝낸 무령왕릉과 달리 8개월에 걸쳐 진행된 천마총 발굴이지만 후회는 남았다. “칠기(漆器)처럼 외부에 노출되면 금방 부식되는 유기물을 온전하게 보존하지 못한 점이 늘 아쉽습니다. 천마총의 정확한 축조 연대를 규명해 무덤의 주인을 알아내는 게 남은 과제일 겁니다.”
 
경주=김상운 기자 sukim@donga.com
 
● 한국의 인디아나존스들
 
[16회]]백제 왕궁 풍납토성, 그 한가운데 뚫린 우물의 정체는?
 
[15회]의암댐 물 빠지자 드러난 ‘중도식 토기’… ‘원삼국’ 역사 다시 써
 
[14회]‘백제 정지산 유적 〓 빈전’ 무령왕릉 지석으로 풀었다

 

#천마총#지건길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이사장#경주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