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행복 생활체육]“엄마 아빠와 운동놀이, 스마트폰보다 재밌어요”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5월 11일 03시 00분


<4> 부모님과 학교에서 놀아요

국내 청소년 절반 이상(56.5%)은 아버지와 대화를 나누는 시간이 일주일에 1시간도 되지 않는다. 10대 청소년 3명 중 1명은 스마트폰 중독이다. 2011년 11.4%였던 스마트폰 중독률은 2014년 29.2%로 급증했다.<통계청·여성가족부 ‘2016년 청소년 통계’>

○ 즐겁게 놀다 보니 운동이 절로


‘학교체육시설 개방 지원 사업’ 프로그램에 참가한 아이들과 학부모들이 3일 서울 종로구 청운초등학교 체육관에서 단체 줄넘기를 하고 있다. 평소에는 배드민턴을 배우는 날이었지만 이날은 어린이날을 앞두고 별도로 만든
프로그램을 했다. 양회성 기자 yohan@donga.com
‘학교체육시설 개방 지원 사업’ 프로그램에 참가한 아이들과 학부모들이 3일 서울 종로구 청운초등학교 체육관에서 단체 줄넘기를 하고 있다. 평소에는 배드민턴을 배우는 날이었지만 이날은 어린이날을 앞두고 별도로 만든 프로그램을 했다. 양회성 기자 yohan@donga.com
어린이날을 이틀 앞둔 3일 저녁 서울 종로구 청운초등학교(교장 이계수) 체육관. 이날 전국에는 비를 동반한 강풍이 몰아쳤다.

“날씨가 나빠 오늘은 참가하는 가족이 별로 없을 것 같네요.”

종로구생활체육회 육영수 사무국장(49)이 걱정을 했다. 하지만 오후 6시 30분이 넘어서면서 아이들이 엄마, 아빠와 함께 체육관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평소보다는 적지만 그래도 20명이 모였다. 생활체육지도자 이성경 매니저(26)가 무작위로 파란색 조끼와 주황색 조끼를 나눠줬다. 10명씩 두 팀이 만들어졌다.

이 학교에서는 3월부터 문화체육관광부와 대한체육회가 주최하고, 시도 및 시군구체육회가 주관하는 ‘학교체육시설 개방 지원 사업’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다. 이 사업은 학교에서 사용하지 않는 시간(방과 후와 휴일)에 학교 안에 있는 전용체육관과 강당 겸용 체육관을 개방하는 것이다. 시설 이용률과 지역 주민의 생활체육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 지난해부터 시작됐다. 이 학교는 올해가 처음이다.

월·화요일은 배드민턴, 수·목요일은 농구, 토요일은 피구나 소프트발리 등 스포츠를 집중적으로 진행하지만 이날은 어린이날을 맞아 임시 프로그램이 실시됐다. 간단한 몸 풀기 체조를 시작으로 꼬리잡기, 단체 줄넘기, 피구가 차례로 이어졌다.

“자∼. 입고 있는 조끼를 벗어 바지 뒤쪽에 끼우세요.”

이 매니저의 말이 떨어지자마자 조끼는 꼬리로 바뀌었다. 휘슬과 함께 상대 팀의 꼬리(조끼)를 잡기 위해 모두 뛰기 시작했다. 뺏기 위해, 뺏기지 않기 위해 정해진 구역 안을 빠르게 돌아다니니 금세 아이들의 몸에 땀이 뱄다.

다음은 단체 줄넘기. 어른 둘이 긴 줄을 잡고 돌리면 같은 팀이 한 명씩 들어왔다. 4명이 합류해 정원을 채운 뒤 줄넘기에 성공한 횟수로 승부를 가리는 게임이었다.

“아저씨가 이렇게 하면 뛰기 시작하는 거야.”

이 학교 5학년에 재학 중인 아들과 함께 참가한 김지응 씨(44)가 왼손을 번쩍 들어 올리며 아이들에게 말했다. 몇 차례 실패 뒤 카운트가 시작됐다. “하나∼ 둘∼ 셋∼” 줄넘기 횟수를 외치는 소리가 체육관에 울려 퍼졌다. 열 번을 넘겼을까. 김 씨의 ‘파란 조끼 팀’이 줄에 걸리자 ‘주황 조끼 팀’이 발을 구르며 함성을 질렀다. “오 예∼.”

스스로의 선택은 아니었지만 같은 색을 입었다는 것만으로 이들은 어느새 한 팀이 됐다.

○ 전국 초중고교 203곳 선정·지원

참가자들이 파란 조끼와 주황 조끼로 팀을 나눠 피구를 하고 있다. 양회성 기자 yohan@donga.com
참가자들이 파란 조끼와 주황 조끼로 팀을 나눠 피구를 하고 있다. 양회성 기자 yohan@donga.com
대한체육회 스포츠클럽육성부에 따르면 전국의 초중고교 1만1446곳 가운데 7319곳이 체육관을 갖고 있다. 올해 이 사업 대상으로 선정된 곳은 5월 현재 203곳이다(표 참조). 이들 학교 외에 체육관을 개방하는 학교도 꽤 있다. 대부분 성인 중심의 특정 종목 동호회가 체육관을 이용한다. 대한체육회 관계자는 “학교 시설을 동호회와 연결해 주는 브로커가 많다. 학교로서도 ‘성인들이 알아서 체육관을 쓰고 이용료를 내라’고 하는 게 훨씬 편하다. 아이들이 포함되면 신경 써야 할 일이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렇게 되면 지역의 특정 종목 동호인들만 혜택을 본다”고 말했다.

지난해까지 특정 종목 동호인들에게 체육관을 개방했던 이 학교가 ‘학교체육시설 개방 지원 사업’을 신청한 데는 육 사무국장의 역할이 컸다. 그는 “종로구 내 여러 학교를 돌아다녀 봤지만 대부분 체육시설 개방에 난색을 표했다. 그래서 생각을 바꿨다. 학생들을 중심으로 아이들이 부모와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할 것이라는 사업계획서를 이 학교에 제출했는데 받아들여졌다. 교장선생님이 적극적으로 협조해 주셨다”고 말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지난해 실시한 생활체육 참여 실태 조사에 따르면 ‘운동하기 좋은 체육시설’을 묻는 질문에 가장 많은 응답자가 집 주변 학교를 꼽았다. 하지만 많은 학교가 시설 관리의 어려움, 안전사고 등에 대한 우려로 시설을 개방하지 않거나 개방 시간을 늘리는 것을 여전히 꺼리고 있다. 육 사무국장은 “학교에 책임을 묻지 않는다면 동참하는 학교가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대한체육회 스포츠클럽육성부 심상보 부장은 “그동안의 경험으로 볼 때 시설만 단순 개방하는 것은 안전사고나 시설 파손 등의 문제가 많았다. 학교체육시설은 반드시 관리자를 배치해 개방에 따른 문제점을 예방하고 효율적인 운영을 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체육회는 이 사업을 운영하는 학교에 전담 매니저의 인건비와 용품 등을 지원한다. 시설 이용 중 발생하는 사고에 대비해 가입한 책임보험 비용도 포함돼 있다. 매니저는 모두 생활체육 관련 자격증을 딴 전문가다. 이성경 매니저는 “6년째 생활체육을 지도하고 있는데 가족을 가르치는 것은 처음이다. 어색했지만 지금은 재미있다. 가족들이 함께 즐거워하는 것을 보면 너무 뿌듯하고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학교 시설을 이용하지만 ‘공짜’는 아니다. 이 학교 학생이 포함돼 있으면 2인 기준 월 3만 원, 다른 학교 학생이 포함되면 월 4만 원, 성인 2명만 등록하려면 월 5만 원이다. 지원금만으로는 사실상 운영이 빠듯해 최소한의 회비는 필요하다는 게 주관단체인 종로구생활체육회의 설명이다. 회비에 차등을 둔 것은 아이들을 동반한 가족 모임을 장려하기 위해서다. 등록을 하지 않은 주민도 개방 시간 동안 시설 이용은 가능하다.

○ 나 홀로 스마트폰 대신 가족과 스킨십


단체 줄넘기가 끝난 뒤 피구가 이어졌다. 아이도 어른도 경기에 열중하는 사이 40대 남성 한 명이 체육관으로 들어오더니 한쪽에서 농구를 하기 시작했다. 열띤 분위기 속에서 피구까지 끝났고 이제는 마무리 체조 시간. 매니저가 서로 등을 맞댄 채 업어주며 몸을 풀라고 하자 무리 속의 한 아이가 “아빠∼” 하며 그를 향해 뛰어갔다. 회사 일로 늦게 온 아버지는 아들이 끝날 때까지 혼자 운동을 했고, 이를 본 아들은 아버지와 함께 등을 맞댄 채 이날 일과를 마쳤다. 인근 신교동에 사는 회사원이라고 밝힌 이 아버지는 “지난달에 아들이 알려줘 아내와 함께 등록했는데 집사람은 오늘 컨디션이 좋지 않아 오지 못했다. 아이와 같이 할 만한 게 마땅치 않았는데 참 좋은 프로그램이다. 우리 아이가 이곳에서 다른 아이들과 어울리는 것을 보면 집에서와는 다르다는 것도 새삼 느꼈다. 특별한 일이 없으면 일주일에 2, 3회는 온다. 대화 여부를 떠나 한 시간 이상 아이와 함께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아이가 원하는 한 계속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파란 조끼를 입고 열심히 줄넘기 줄을 돌렸던 김지응 씨는 “헬스클럽에 가려면 돈도 많이 들지만 일단 재미가 없다. 이 프로그램은 다르다. 아이와 함께 뛰어노니 시간 가는 줄 모른다. 여기에 오기 위해 술을 덜 마시게 된 것도 큰 소득”이라며 웃었다. ‘즐겁게 놀았다’는 김 씨의 온몸은 땀으로 흠뻑 젖어 있었다.

두 시간 남짓 아이들은 부모, 이웃 아저씨와 아주머니, 그리고 친구들과 자연스럽게 신체활동을 즐겼다. 스마트폰을 손에서 내려놓은 이 시간 동안 아이들은 부모와 정을 쌓았고 건강을 키웠다. 기계 대신 사람과 소통했다. 새로운 가족문화의 가능성이 학교 체육관에서 싹트고 있었다.
 
이승건 기자 why@donga.com
 
공동기획: 동아일보 대한체육회
#학교체육시설 개방 지원 사업#방과후 체육시설 개방사업#초중고교 203곳 대상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