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를 이끈 潮流]문학/'인간과 세상' 펜끝의 화두

  • 입력 1999년 12월 15일 19시 42분


《문학의 20세기는, 중산층의 가치관을 대변했고 언어의 재현능력을 믿었던 19세기 부르주아 리얼리즘의 낙관주의에 대한 반발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래서 20세기 초, 작가들은 낯익은 일상을 묘사하는 관습적인 언어와 문체를 떠나, 참신하고 실험적인 기법으로 낯선 세계를 탐색하기 시작했다. 전 근대적인 기법으로는 더 이상 근대(또는 현대)의 복합적인 리얼리티를 재현할 수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20세기초의 작가들은 외적 현실보다는 내면세계에 주목했고, 내면 세계를 묘사하기 위해 ‘의식의 흐름’과 ‘내적 독백’이라는 새로운 창작기법을 만들어 냈다. 또 리얼리티를 파악하고 재현하는 각기 다른 방법으로 인해 수많은 유파들―예컨대 상징주의, 초현실주의, 다다이즘, 이미지즘, 인상주의, 표현주의, 미래주의 등―이 생겨나게 되었다. 20세기 초반을 장식했던 강력한 문예사조 모더니즘은 그렇게 해서 태동했다.

모더니즘 시대는 조이스, 카프카, 만, 프루스트, 또는 릴케, 엘리어트, 파운드 같은 기념비적 소설가들과 시인들을 낳았다. 그러나 낯선 세계의 탐색, 세련된 실험적 기교, 그리고 심미적 가치의 치중은 모더니즘을 점점 더 대중과 괴리된 엘리트주의, 그리고 현실과 유리된 예술지상주의로 몰아갔다.

모더니스트들이 보는 예술가는 저속한 사회로부터 소외된 고독한 천재이자, 물질주의와 상업주의에 의해 속절없이 오염되어 가는 순수예술을 지키는 파수꾼이었다. 그들은 자본주의 산업사회가 초래한 문명의 위기와 (고급)문화의 위기 속에 괴로워했으며, 예술의 숭엄함과 순수성을 파괴하는 시간의 흐름을 중지시키고 싶어했다.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나 포크너의 ‘에밀리를 위한 장미’ 같은 작품들이 모두 지나가 버린 시간에 대한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있는 것도 바로 그러한 이유에서였다. 그들은 또 자신들의 시대를 혼란스럽고 파편적인 것으로 파악하고, 질서와 총체성을 추구했다. 모더니스트들의 특징이었던 ‘다양성 속의 통일성’은 바로 그런 맥락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20세기 후반에 접어들면서 모더니즘은 점차 입지가 좁아지기 시작했다. 2차대전이 초래한 전후의 혼란과 황폐는 유럽에서 부조리문학과 실존주의 문학을 꽃피웠고,지배문화와 지배체제에 대한 실망과 저항은 미국의 비트 운동과 영국의 ‘성난 젊은이들’ 운동을 불러왔다.

그와 같은 새로운 문학사조들이 60년대 진보주의와 맞물리면서, 그동안 보수주의적 도그마로 경직된 모더니즘은 급속도로 힘을 잃기 시작했다. 벽에 부닥친 모더니즘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포스트모더니즘 시대가 시작된 것은 바로 그 때였다.

포스트모더니즘의 가장 큰 중요성은 20세기 후반, 인간의 인식에 근본적인 변화를 초래했다는 점이다. 그러한 인식의 변화는 곧 문학을 비롯한 모든 예술과 학문으로 확산되기 시작했다. 가장 중요한 변화는 아마도 ‘탈 중심’과 ‘탈 절대’ 사상일 것이다. 지금까지 우리가 절대적 진리 혹은 중심이라고 믿어온 것들은, 사실 지배 문화와 권력이 담합해 만들어 놓은 것일 뿐이며, 따라서 비진리로 분류되어 부당하게 주변부로 밀려난 소수문화에 대한 재조명이 필요하다는 의식이 확산되기 시작한 것이다. 그러한 인식의 전환은 비단 문단이나 학계 뿐 아니라, 사회 구조 전반을 뒤흔드는 코페르니쿠스적 변화를 초래했다.

문학에 있어서 그것은 우선 예술의 탈신비주의, 대중문화의 포용, 장르의 해체, 소수인종 작가와 문학의 부상, 비정전 텍스트의 재조명, 이분법적 가치관의 거부 등으로 나타났으며, 그것은 다시 페미니즘, 탈구조주의, 탈식민주의, 다문화주의 같은 문예사조로 구현되었다.

제국주의 이데올로기의 형성에 간접적으로나마 공헌했던 모더니즘과는 달리, 포스트모더니즘은 문화제국주의의 정체를 드러내 주었으며, 예술의 상품화에 저항했던 모더니스트들과는 달리 예술의 필연적인 상품화를 인정했다. 예술이란 저 높은 곳에 존재하는 고고한 것이 아니라, 우리의 일상 현실과 삶 속에 스며있는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또 총체성의 회복에 대한 향수를 갖고 있었던 모더니즘과는 달리, 포스트모더니즘은 총체성의 전체주의적 억압을 경계하며, 무질서와 개체성을 인정했다. 그 결과는 다양성과 복합성(multi―)의 포용이었다.

이러한 최근의 변화 중에서도 문학의 특권에 치명타를 가한 것은 ‘문화연구(cultural studies)’였다. 문화연구는 스스로 모든 예술 중에서도 으뜸이라고 생각해왔던 문학을 불경스럽게도 영화나 텔레비전, 또는 팝 뮤직이나 광고와 똑같은 비중의 문화텍스트 중 하나로 취급했으며, 특히 미국의 ‘미디어 문화연구’는 문학을 하나의 미디어로 축소시켰다. 물론 문화연구는 그동안 폐쇄적이었던 문학의 영역을 확장시켜 문학이라는 장르에 새로운 활력을 줄 수 있는 긍정적인 사조로 평가된다.

그럼에도 문화연구는 영상매체와 전자매체에 많은 비중을 둠으로써 문자매체에 의존하고 있는 문학에 심각한 위기의식을 가져다 주었다.

20세기 후반을 장식한 가장 커다란 변화는 활자매체에서 영상매체로, 그리고 문자매체에서 전자매체로의 이동이다. 태어나면서부터 영상과 전자매체에 익숙해져있는 젊은 세대에게 활자와 문자매체는 이제 더 이상 예전과 같은 호소력이 없다. 그 결과 우리는 지금 역사상 세대간의 단절이 가장 극심한 시대에 살고 있다. 결국 종이 책과 활자매체는 사라지게 될 것이고, 대신 플라스틱 책과 전자매체의 시대가 도래할 것이다.

그러나 전이는 서서히 이루어질 것이며, 그 둘은 당분간 공존할 것이다. 서기 105년 채륜이 종이를 발명한 이래, 그리고 15세기 중반 구텐베르크가 인쇄술을 보급한 이래 오랫동안 인류가 문화적 유산을 기록하고 축적해 온 활자문화가 하루아침에 없어지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새로운 천년을 맞아 문학은 내용과 형식 모두에서 본질적인 변화를 겪게될 것이다.

21세기에 문학은 스스로의 아집과 패각을 깨고, 타 학문 및 타 장르와의 교류와 대화를 활발하게 진행하는 상호작용적(interactive) 복합예술이 될 것이다. 그래서 문학과 영상, 문학과 음악, 또는 문학과 미술의 혼합 뿐만 아니라, 문학과 과학, 예술과 테크놀로지, 그리고 인간과 기계의 합일 가능성도 문학의 새로운 영역으로 부상하게 될 것이다.

문학의 주요 관심사는 이제 생명의 존중, 생태계의 보존, 그리고 인류의 공존 문제가 될 것이다. 인간 중심의 전통적 인본주의는 사라지고, 인간이 자연의 일부가 되고 자연과 합일하는 진정한 휴머니즘이 시작될 것이다. 미래의 문학은 개인의 자유와 개체성도 존중하되, 인류 절멸을 피하는 공동체 의식도 추구하게 될 것이다. 문학은 또한 컴퓨터가 주도하는 무제한의 속도에 대한 성찰과 제동의 기능도 수행할 것이다.

20세기 문명에 대한 반성은 벌써 시작됐다. 새로운 밀레니엄의 비전은 바로 그 반성과 성찰로부터 시작될 것이다.

김성곤(서울대교수·영문학)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