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현장기고]한준상(연세대교수·교육학)

  • 입력 1996년 11월 10일 20시 22분


선진국의 교육개혁 방안은 질도 우수하고 실천전략도 다양하다. 개혁의 초점은 학생에게 최고의 질, 최상의 서비스가 보장된 교육을 시키는 것이다. 학생이 최상의 서비스를 받아 봐야 그들 역시 최상의 서비스를 국가에 되돌려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학생을 위해 미래를 바르게 예측하는 것은 국가발전의 지렛대를 얻는 것과 마찬가지다. 선진국은 21세기를 맞아 교육개혁의 패러다임을 철저하게 바꾸고 있다. 그래서 개혁의 지향점은 미래에 두고 구체적인 방안은 몇가지로 제한했다. 개혁의 발상은 참신하게, 실천은 현실적으로 추진하자는 전략이다. 이 때문에 우리의 초등학교에서 외국어 조기교육을 하는 것이 왜 문제가 되는지 저들은 궁금해 한다. 왜 가르치느냐고 따지는 것보다 어떻게 가르치느냐가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일부 국가는 외국어 교재를 아예 외국에서 직수입한다. 적당히 만든 내수용 국산 교재보다 직수입한 교과서가 더 효과가 있다는 판단때문이다. 가격도 싸 예산을 줄이는 이점도 있다. 아무리 좋은 개혁방안이라도 시기를 놓치면 쓸모가 없다. 교육개혁은 미래를 향한 발상의 전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힘들더라도 교육현안의 골칫거리는 과감하게 해결하는 결단력을 보여야 한다. 현실적으로 세계 모든 나라에서 골머리를 앓고 있는 문제의 하나가 고교교육의 정상화다. 이 때문에 중고교 학제를 아예 바꾼 곳도 있다. 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을 다녀야 한다는 고정관념 자체를 없앤 것이다. 능력에 따라 학습효과가 빠른 학생은 2년만에, 더딘 학생은 4년안에 졸업해도 괜찮다는 개혁안을 마련하니까 대학입시와 취업에 대한 고정관념도 덩달아 바뀌었다. 기껏해야 문과와 이과를 통합해 고교교육의 정상화를 촉진하겠다는 우리의 발상은 21세기의 고교가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정확한 예측과 비전이 없는 데서 나온 것이다. 교육개혁은 뒤를 따라주는 세력이 있어야 성공한다. 그렇다고 강압은 안된다. 미국의 경우 주(州)정부가 독자적인 교육정책을 세워놓고 연방정부의 개혁안과 겨루기도 한다. 연방정부의 개혁안만이 학생과 나라를 위한다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주정부가 내놓은 교육개혁정책이 연방정부와 크게 다른 것은 아닌데도 독자성을 주장하는 것이다. 물론 보조비 몇푼을 주면서 이래라 저래라하는 연방정부의 지나친 간섭도 싫어한다. 주정부의 이러한 태도에 대해 연방정부는 유연한 자세로 나온다. 연방정부의 개혁정책에 호응할 경우 재정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물론 재정지원의 기준이나 평가내용은 세밀하고도 정교하게 해놓아 뒷말을 없애고 있다.한 준 상<연세대교수·교육학>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