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동진의 영화파일]스노우 워커

  • 입력 2004년 12월 23일 15시 46분


코멘트
에스키모 소녀 카날라와 문명세계에서 온 비행사 찰리는 서로를 위한 배려와 희생으로 완성되는 사랑을 보여준다. 사진 제공 프리비젼
에스키모 소녀 카날라와 문명세계에서 온 비행사 찰리는 서로를 위한 배려와 희생으로 완성되는 사랑을 보여준다. 사진 제공 프리비젼
국내에 선보이는 캐나다 산(産) 영화는 줄기차게 순백색의 영롱한 이야기들이다. 물론 ‘줄기차게’라는 표현에는 어폐가 있다. 올 한해 일반극장에 선보인 캐나다 영화라고는 단 한 편, 그러니까 ‘아타나주아’ 밖에 없었으니까. 하지만 내년 초에 선보일 ‘스노우 워커(Snow Walker)’까지 생각하면 분명 연속의 의미는 있어 보인다. 거기다 ‘아타나주아’나 ‘스노 워커’나 모두 다, 그것이 전부든 아니면 일부든 간에, 에스키모의 삶을 다뤘다는 측면에서 서로 연관성이 있는 작품처럼 느껴진다. 하지만 아뿔사, 이런 얘기는 하지 말았어야 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자칫 사람들이 또 에스키모 영화냐고 할지 모를 일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아타나주아’의 경우 가뜩이나 일부 영화 팬들만이 관람한 작품이다. ‘캐나다 영화=에스키모 영화’라는 있을 수 있는 오해는, 한국영화와 할리우드 영화 외에는 허용치 않는 작금의 우리 극장문화가 나타내는 편향성 때문이다. 서글픈 일이다.

말은 그렇게 시작했지만, ‘스노우 워커’는 ‘아타나주아’와는 달리 결코 에스키모 영화가 아니다. 에스키모 여인이 나올 뿐이며 캐나다 북부 알래스카의 광활하며 투명한, 때로는 위압감까지 느껴지는 자연의 풍광이 나올 뿐이다. ‘아타나주아’가 에스키모의 순수한 삶을 그려내는데 주력했다면, ‘스노우 워커’는 에스키모 소녀로부터 삶의 지혜를 빌려 극한의 상황을 이겨낼 수 있었던 한 백인 남자의 이야기다. ‘스노우 워커’의 최대 미덕은, 이런 얘기일수록 서구 영화들이 빠지기 쉬운 이른바 오리엔탈리즘의 오류를 저지르지 않았다는 점에 있다. 아마도 할리우드가 이 영화를 만들었다면 치졸한 인간승리극이 됐을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최근 들어 할리우드 문화권에서 벗어나 독립된 정체성을 찾으려고 애쓰는 캐나다 영화들은 그렇지 않다. 그 점 때문만으로도 우리가 이 영화에 주목해야 할 이유는 충분하다.

북극해를 비행하는 베테랑 비행사 찰리는 어느 날 결핵을 앓고 있는 에스키모 소녀 카날라를 태우게 되고 그녀를 병원으로 데려가는 도중 비행기 고장을 일으켜 도시에서 수백 마일 떨어진 황량한 설원 한가운데 추락하고 만다. 구조대가 올 것을 전혀 기대할 수 없는 상황. 점차 겨울은 다가오고, 결국 두 사람은 눈보라를 뚫고 사람들이 있는 곳을 찾아가야 할 지경에 이른다. 문명의 이기에 익숙해 있던 찰리는 점차 카날라로부터 생존의 방식을 배우면서 에스키모의 삶에 동화돼 나간다.

‘스노우 워커’의 매력은 물론 두 사람 곧, 찰리와 카날라의 연정에서 찾아진다. 두 사람은 영화 내내 껴안지도 키스하지도 않고, 무엇보다 섹스를 하지 않지만 세상의 그 어떤 연인보다도 더 진한 사랑을 나누는 것처럼 느껴진다. 자칫 죽을지도 모르는 극한의 상황 속에서 두 사람은 끊임없이 서로가 서로를 배려하고 아끼기 때문이다. 이 영화의 숭고함은 현재 우리가 잊고 살아가는 희생이라는 가치를 일깨워준다는 데서 찾아진다. 목숨을 잃을지 모르는 상황 속에서라면 사람들은 자기만 살겠다며 이기적이 되기 십상이라고들 한다. 그런 희생 따위는 영화에서나 하는 얘기일 뿐이라고도 한다. ‘스노우 워커’는 그러나, 그것이 영화 속에서나 나오는 환상만이 아니라는 걸 느끼게 해준다. 사람들은 극한 상황 속에서도 가치 있는 일을 한다. ‘스노우 워커’의 카날라가 보는 사람들의 마음속으로 밀고 들어오는 것은 그 때문이다 . 그녀는 찰리의 뺨을 어루만지며 이렇게 얘기한다 . “잘 걸어가요, 나의 형제여(Walk well, my brother).”

천신만고 끝에 찰리가 에스키모 사람들을 만나 구조되는 마지막 장면은 이 영화의 압권 중 압권이다. 스크린 가득 북극의 눈보라가 치는 광야가 펼쳐진다. 찰리와 에스키모 사람들은 각각 스크린의 왼쪽과 오른쪽의 조그만 점으로 표현될 뿐이다. 대사가 전혀 없는 이 마지막 장면에서 찰리와 에스키모 사람들, 무엇보다 관객들 모두는 이제 우리가 진정코 새로운 삶을 살아야 함을, 그리고 그것을 위대한 자연의 숨결에서 배워야 함을 웅변한다. ‘스노우 워커’는 진정으로, 눈물 없이는 볼 수 없는 작품이다. 지루한 영화 같다고? 혹시 당신 삶이 지루한 건 아닌지 한번쯤 반성해 볼 일이다. Walk well, my brother!

1월 14일 개봉. 전체관람가.

오동진 영화평론가 ohdjin@hotmail.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