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이 시작되고 3개월여의 시간이 지났을 때, 함께 읽은 책이 바로 안톤 체호프의 ‘귀여운 여인’이었다. 주인공 ‘올렌카’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던 중 그 학생이 놀라워하며 말했다.
“이 여자는 자기 모습이 없네요. 허구한 날 남만 따라가요. 마치 나처럼….”
올렌카는 사랑스러운 여인이다. 그가 누군가를 사랑하게 되면, 그의 반짝이는 눈빛과 생각, 쏟아져 나오는 말들은 온통 한 곳으로 향한다.
“어제는 ‘파우스트’의 개작을 공연했는데 관람석이 텅 비었어요. 하지만 내일은 ‘지옥에서의 오르페우스’를 공연할 예정입니다.”(극장 지배인 쿠킨을 남편으로 두었을 때)
“전에는 이 지방에서 나는 나무만으로도 장사가 되었는데…극장 같은 곳은 안 가요. 그런 우스꽝스러운 구경을 하고 다닐 여유가 없답니다.”(목재상 푸스토발로프와 재혼한 후)
그는 누군가를 사랑하지 않고는 단 1년도 살 수 없는 여자다. 사랑하는 이들이 그의 곁을 모두 떠났을 때, 그는 마치 이 세상에 없는 사람처럼 잊혀져 갔다.
그에게 가장 큰 불행은 어떤 일에도 자신의 의견을 가질 수 없다는 사실이었다. 그가 ‘귀여운 여인’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생각할 수 있는 힘과 삶의 방식을 제시해줄 수 있는 그런 사랑이 있어야만 했다.
관계맺음에 있어 자신과 타인 사이의 경계가 불분명한 사람이 있다. ‘내 것이 네 것이고, 네 것이 내 것이다’란 말은 근사해 보인다. 그러나 이 같은 관계의 지속은 자신뿐 아니라 관계를 맺는 대상까지도 해칠 수 있다는 사실 또한 놓치지 말아야 한다.
작중 인물인 올렌카를 통해 자신의 관계 패턴을 바라볼 수 있었던 그 중학생과 같이 자신의 ‘정체성’을 가끔씩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영화 ‘런어웨이 브라이드’(게리 마셜 감독)를 통해서도 또 다른 올렌카를 만날 수 있다. 어린이에게는 ‘티코의 황금 날개’(분도), ‘까마귀의 소원’(마루벌)을 권하고 싶다.
한이옥 한우리독서치료연구회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