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중국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 입력 2006년 9월 8일 03시 00분


어제 주요 일간지에 보도된 한 장의 사진은 우리 마음을 착잡하게 했다. 한민족의 성산(聖山) 백두산에서 중국이 내년 창춘(長春)에서 개최될 제6회 동계아시아경기대회의 성화를 채화하는 사진이다.

지난 2년 동안 중국은 ‘백두산 중국 땅 만들기’와 발해사(渤海史)까지 자국 역사에 편입시키는 동북공정(東北工程)에 박차를 가해왔다. 노무현 ‘자주(自主)정권’은 까맣게 몰랐다고 한다. 그러면서도 노 대통령은 “외교는 초과달성했다”고 했다. 북한의 ‘주체(主體)정권’은 1962년 비밀 체결한 중-조(中-朝)변계조약에 따라 천지의 절반을 중국에 내준 채 침묵만 지키고 있다.

일찌감치 패권(覇權)국가를 준비해 온 중국의 실체를 제대로 모르면서 ‘중국이 한국경제의 미래’라며 착시(錯視)현상만 부추겨 온 김대중 정권부터 외교적 치욕의 씨를 뿌렸다. 노 정권은 더 나아가 친중탈미(親中脫美)를 노골화했다. 노 대통령은 2003년 6월 일본 방문 때 ‘앞으로 우호관계를 돈독히 해야 할 나라’로 미국보다 중국을 꼽았다. 2년 전 한일포럼에서 한 친노(親盧) 인사는 “일본이 미국과 가까워지면 우리는 중국과 가까워질 것”이라고 호언했다. 2004년 총선 직후 열린우리당 의원의 63%는 “중국이 미국보다 중요한 외교 상대”라고 합창했다.

일본 학계에서는 일찍부터 “한반도에 자국 이익에 반(反)하는 정권이 들어설 경우 군사력을 행사할 가능성이 있는 유일한 나라는 중국”이라며 한국의 중국에 대한 ‘일방적 애정’에 경고를 보냈다. 2년 전 주한 중국대사관 측은 대만 총통 취임식에 참석하려던 한국 여야 의원들에게 “나중에 중국에 올 때도 생각하라”고 협박하는 전화를 걸기도 했다. 더구나 중국은 경제적으로도 더는 우리에게 ‘기회’만이 아니다. 중국경제가 우리 경제의 최대 변수가 될 수 있고, 경제적 종속의 위험마저 없지 않다.

늦었지만 북방에 치우친 한국 외교의 항로(航路)를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 “그때 당신들은 나라의 독립과 자존을 지키기 위해 무엇을 했느냐”는 후손들의 물음에 답하기 위해서도 그렇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