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제주 올레길 따라 나물구경 해볼까

  • 입력 2009년 4월 24일 03시 01분


‘무엇보다도 봄을 육감적으로 알리어 준 것은 달래이다.’

1900년대 중반 한국 수필문학의 터를 닦은 수필가 한흑구는 ‘화단의 봄’에서 달래로 떠오른 봄의 심상을 이렇게 적고 있다.

‘오늘 아침 조반상 위에는 색이 아직 파릿파릿한 달래가 온 겨울 주방에서 묵은 고추장에 빨리우고 고소한 깻가루에 섞이어서 한 접시 들어왔다. 마늘같이 냄새는 없어도 매운 듯한 달래만이 갖고 있는 맛을 씹으면서 채 녹지 않은 벌판에 나가 달래를 캐는 처녀애들을 연상하였다….’

○ ‘나물에서 만나는 봄’-도시 떠나 자연 속으로

푸릇푸릇한 풀들이 지천에서 돋아나는 계절, 봄이다. 그중에서도 맛과 향과 색을 다해 온몸으로 우리에게 봄을 알리는 봄나물이야말로 가히 ‘봄의 정령’이라 부를 만하다.

하지만 아스팔트 거리로 가득한 도시에 사는 대다수 사람들에게 봄나물이란 마트에서 파는 계절상품일 뿐이다. 상냥해진 봄의 땅을 뚫고 솟아난, 자연 그대로의 봄나물을 만난 경험은 많지 않다.

서울에서 나고 자란 기자 역시 그랬다. 식물 종류를 구분한대봤자 고작 ‘풀’ ‘꽃’ ‘나무’로 나누는 정도. 봄나물은 ‘두릅’ ‘달래’와 같은 ‘이름표’를 달고 마트 진열대 위에 놓여있어야 먹는 것인 줄 알았다. 산길을 걸으며 ‘먹을 풀’과 ‘못 먹을 풀’을 구별한다는 건 거의 불가능한 일이었다.

그래서 우리는 직접 자연 속으로 걸어 들어가 봄나물을 찾는 여행을 떠나기로 했다. ‘나물 놓고 나물인 줄도 모르는’ 기자를 돕기 위해 두 명의 나물 전문가가 동행했다. 최근 우리 땅에서 나는 421종의 나물을 ‘나물도감’식으로 엮은 책(‘느긋하게 친해져도 괜찮아’)을 낸 이재명 씨와 제주도에서 자연 생태문화 체험골을 운영하고 있는 강영식 촌장이 그 주인공. 강 촌장은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제주 올레길 11코스와 12코스를 직접 발굴해 선보인 제주 자연 전문가이기도 하다. 우리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봄이 찾아오는 제주도 남부 서귀포 일대 중에서도 제주의 토속적 자연 경관이 오롯이 살아있는 올레 11, 12코스를 걸으며 봄나물 탐사에 나서기로 했다.

○ 봄나물 찾아 ‘놀멍 쉬멍’ 제주 올레길 걷기

나물 기행을 위해 도착한 16일 제주에는 이른 아침부터 비가 내리고 있었다. 강 촌장은 “제주에서는 이 비를 ‘고사리 장마’라고 부른다”고 했다. 해마다 이맘때쯤이면 어김없이 3, 4일 정도 봄비가 내리는데, 이 비가 지나가고 나면 사방에서 땅속에 숨어 있던 고사리들이 쑥쑥 올라온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라고 했다.

제주도 북쪽에 위치한 제주국제공항에서 남쪽 서귀포 해안가까지 차로 1시간 남짓 달리면 지난달 28일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된 12번째 올레 코스에 닿을 수 있다. 최근 걷기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올레는 본래 순수 제주말로 ‘집에서 큰길까지 난 좁은 골목길’을 일컫는다. 올레는 절대 직선으로 나 있지 않다. 라면 면발처럼 ‘꼬불탕 꼬불탕’하게 나 있어야 정통 올레다. 바람이 많은 제주의 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선조들의 지혜가 담겨 있는 길이다. 남보다 빨리, 될 수 있으면 질러가는 것이 능력으로 인정받는 ‘속도만능’의 시대에, ‘놀멍 쉬멍(놀며 쉬며)’ 걷는 것을 즐겼던 옛 제주사람들의 ‘느림의 미학’이 반영된 길이기도 하다.

갯완두 장구채 번행초 갯메꽃

발딛는 곳마다 ‘봄의 축복’ 가득

이 올레에서 이름을 따 조성되고 있는 제주 올레길은 현재 제주도 남단 동쪽에서 서쪽까지 215.71km에 걸쳐 총 12코스가 완성된 상태다. 주로 개인 단위 여행객이 많지만, 일부 가족 단위 여행객을 겨냥해 호텔신라 제주는 전문 안내가를 두고 호텔 인근 7, 8코스 올레를 투숙객들에게 소개하고 있기도 하다. 강 촌장은 “때 묻지 않은 자연과 함께 제주의 옛 정취를 느낄 수 있는 길이어야 올레 코스가 될 수 있다”며 “올레야말로 ‘제주의 속살’을 가장 잘 경험할 수 있는 길”이라고 설명했다.

○ 제주 해안가 ‘갯나물’의 향연

그 말을 증명이라도 하듯 12코스 해안가에 도착하자마자 이 씨가 현무암 돌 틈새에 난 한 무더기의 풀을 손으로 가리키며 “어? 여기 이게 펴 있네!”라고 반가워했다. 자줏빛 보라색 꽃이 귀엽게 매달린 이 식물의 이름은 ‘갯완두(‘갯’은 바다라는 뜻)’라고 했다. 싱그러운 초록빛의 연한 잎은 삶아서 양념에 무쳐먹거나 된장국에 넣기도 한단다.

갯완두를 보고 반가워한 것은 시작에 불과했다. 올레길 표지인 파란색 화살표를 따라 한 걸음 한 걸음 옮길 때마다 사방에서는 봄의 대지를 비집고 고개를 내민 각종 봄나물이 끝없이 발견됐다. 제주 방언으로 ‘속’이라고 부른다는 쑥은 육지의 쑥과는 달리 그 잎의 크기가 아이 손바닥만큼 컸다. 한 움큼 뜯어 코에 대어보니 쌉싸름한 쑥 향기가 아주 짙고 강하게 퍼졌다. 꽃봉오리의 모양새가 장구를 닮은 ‘장구채’는 어린잎을 데쳐 나물로 먹거나 밀가루를 묻혀 튀겨 먹으면 별미라고 했다. 다른 한쪽에는 1원짜리 동전만 한 보라색 꽃을 단 풀이 자라고 있다. 제비꽃이다. 이 씨는 “제비꽃의 잎도 나물로 먹을 수 있다”며 “어린잎은 나물로, 꽃은 작은 콩이랑 물엿을 발라 과자로, 뿌리는 잘게 썰어 밥에 섞어 먹는다”고 설명했다.

조금 더 걷자 이번에는 선인장이 나타났다. 제주에서 일명 ‘손바닥 선인장’이라고 부른다는 ‘백련초’였다. 강 촌장이 선인장에 달린 빨간 열매를 뜯어 껍질을 까자 피처럼 새빨간 물이 배어나왔다. 그는 “자연적인 음식의 색을 낼 때 좋다”고 말했다. 은백색의 앙상한 가지가 무성한 희한한 모양의 나무는 ‘순비기 나무’라고 했다. 토종 허브란다. 여름이 되면 보라색 꽃과 함께 잎이 무성하게 나는데, 향이 아주 좋고 강렬해 제주에서는 회를 먹을 때 순비기 나무 잎에 싸서 먹는다고 했다. 두통이 있는 사람이 순비기 나무의 열매를 베개에 넣으면 두통이 나아진다는 속설도 있단다. 이 밖에도 ‘인동초’, ‘번행초’, ‘갯메꽃’, ‘아욱’, ‘나리’, ‘가시엉겅퀴’ 등 끊임없이 등장하는 각종 나물에 정신이 팔려 걷다 고개를 드니, 올레길 양쪽에는 노란 유채꽃과 더 노란 개불주머니가 군락을 지어 흐드러지게 펴 있었다. 마치 횃불처럼 빛나는 이들 꽃은 하얗게 부서지는 제주 파도 및 현무암 절벽과 어우러져 절경을 이뤘다.

○ 제주의 숲 속 ‘산나물’의 향연

12번 코스에서 시작해 해안을 따라 동쪽으로 걷다보면 11번 코스의 ‘곶자왈’ 표지판이 나온다. 숲길이 시작되는 곶자왈 입구는 어릴 적 읽은 동화책 ‘비밀의 화원’을 떠올리게 했다. 강 촌장은 “곶자왈은 제주 말로 ‘가시덤불이 우거져 쓸모없는 땅’을 의미한다”며 “하지만 그래서 역설적으로 지금까지도 순수 제주 자연의 옛 모습을 오롯이 간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곶자왈에 들어서자마자 강 촌장이 갑자기 “이야!” 하고 감탄사를 내지른다. 그는 뾰족뾰족 가시가 난 나무줄기를 뚫고 난 손가락만 한 새순을 가리키고 있었다. 이게 뭐기에 그리 반가워하느냐고 묻자 ‘나물의 제왕’이라고 불리는 ‘두릅’이란다. 실제로 본 자연산 두릅은 마트에서 본 그것과 전혀 달랐다. 이 씨는 “사람들이 하도 가지째로 두릅을 잘라가 버리는 통에 요즘엔 자연산 토종 두릅은 거의 볼 수 없는 실정”이라며 안타까워했다. 조금 더 걷다보니 이번에는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살짝 말려들어간 잎이 무성한 덩굴이 나타났다. ‘청미래 덩굴’이라고 했다. 떡 등을 이 잎에 싸먹으면 톡 쏘는 향이 배어 그 맛이 더욱 좋단다. 냉장고가 없던 시절엔 이 잎으로 음식을 감싸 보존기간을 늘리기도 했다고 했다.

제주의 숲길에서 가장 쉽게 발견할 수 있는 나물은 ‘고사리’였다. 처음엔 잘 보이지 않았는데, 키를 낮춰 오리걸음으로 숲길을 걷다보니 사방의 나무 밑둥에 고사리가 쑥쑥 고개를 내밀고 있었다. 굵고 긴 줄기 대에 갈색솜털이 송송 나 있는 이곳 고사리는 전국적으로 유명해 제주에서는 매년 고사리 축제가 열릴 정도다. 세 사람이 20분 정도 숲길을 걸으며 고사리를 따니 등산 모자에 금세 싱싱한 고사리가 한가득 찼다. ‘놀멍 쉬멍’ 한참을 걷던 강 촌장은 불쑥 길쭉한 나무줄기를 내밀며 씹어보라고 권했다. 새콤달콤한 맛이 신선했다. ‘찔레순’이었다. 강 촌장과 이 씨는 “우리 어릴 땐 이게 바로 과자였다”며 웃었다. 청미래 덩굴도 어린 순을 꺾어 씹어보니 찔레순과 비슷한 상큼한 단맛이 났다. 반나절가량 걸으며 이런 저런 나물을 눈에 익히다보니 그야말로 이젠 온 천지가 다 ‘먹을 풀’로 보였다.

○ ‘자연의 선물’과 만나는 봄나물 기행

이 계절의 산에는 ‘먹을 풀’만큼이나 ‘먹을 나무’도 많았다. 최근 약초로 각광받고 있다는 ‘꾸지뽕 나무’를 비롯해 가지에 하얗게 분가루가 묻어있는 ‘야생 복분자’ 나무도 있었다. 제주에서 회와 함께 먹는 최고의 향신료라는 ‘초피나무’의 잎은 씹어보자마자 깜짝 놀랄 정도로 그 향미가 강했다. 곶자왈에서는 하얀색 꽃이 아름답게 펴 있는 나무도 여럿 눈에 들어왔다. 말로만 듣던 ‘탱자나무’였다. 가까이에서 보니 탱자나무 줄기에 나 있는 가시가 만만치 않았다. 옷 같은 데라도 한번 걸리면 여간해서는 앞으로 나아갈 수 없었다. 강 촌장은 “추사 김정희 선생이 제주에 유배됐을 당시, 김 선생 집 주변을 둘러싸고 있던 나무가 바로 이 나무”라고 말했다. 사람들이 쉽게 드나들 수 없도록 가시가 무성한 탱자나무와 실거리 나무로 집을 둘러 쳐 놓았다는 것이었다. 이 밖에도 제주도 도목이라는 ‘녹나무’는 최근 그 껍질에 항암효과가 있는 것이 알려지면서 가지껍질이 무분별하게 벗겨지는 수난을 겪고 있다고 했다. 녹나무에는 재미있는 전설도 있는데, 예부터 제주에서는 녹나무가 귀신 쫓는 나무라고 해 절대 집에다 심지 않았단다. 제사 때 조상귀신이 쉽게 집에 들어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봄나물이 난 자리를 따라 두 ‘나물꾼’의 이야기를 들으며 걷다보니 어느덧 제주 돌담길 너머로 석양이 내려앉고 있었다. 고요하다 못해 적막하기까지 한 숲 속에는 이름모를 새들의 청명한 지저귐이 배경음악처럼 울려 퍼졌다. 새벽부터 내리던 봄비도 그쳐 이제는 부드러운 봄바람만이 불어왔다. 봄에 만난 제주의 길은 그냥 바닷길, 그냥 숲길이 아니었다. 온 천지가 ‘자연의 선물’이었다.

글·사진=제주 임우선 기자 imsun@donga.com

디자인=박초희 기자 chok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