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오후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대강당에서 열린 은하문화학교 ‘페르시아 및 이슬람 문화의 이해’의 주제는 ‘재미있고 유익한 중동이야기’.
강사로 나선 서정민 한국외국어대 국제지역대학원 중동아프리카학과 교수는 이란 등 중동의 문화 종교 정치 경제 등에 대해 잘못 알려진 점을 조목조목 짚으며 중동의 진짜 모습을 소개했다.
특히 중동을 단일체로 일반화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 대표적 예가 이란. 이란은 아랍 민족인 다른 중동 국가와 달리 페르시아 민족이다. 언어도 다르다. 이란은 중동 국가이자 이슬람 국가이지만 아랍 국가는 아니라는 말이다.
여성의 얼굴을 가리는 히잡 역시 이슬람 문화의 산물이 아니라는 게 서 교수의 설명. 이슬람교가 생겨나기 이전부터 중동 지역의 유대인 여성도 천으로 얼굴을 가렸다. 중동의 기후와 관련된 문화로 봐야 한다.
중동은 여성을 억압하는 문화가 강하다는 것도 편견이다. 예멘처럼 얼굴과 몸 전체를 가리는 국가가 있는가 하면 이집트는 여성 공무원 수가 전체의 40%에 이르고 레바논은 여성이 얼굴과 몸을 드러내고 다닐 뿐 아니라 의사 표현도 자유롭다. 정치체제도 사우디아라비아가 왕정인 반면 이집트는 공화정일 정도로 다양하다.
서 교수는 이슬람 국가들이 정교일치 체제라는 인식도 잘못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오히려 이슬람 역사상 종교권이 왕권 위에 선 적이 없다”고 설명했다. 이슬람 주류인 수니파에는 성직자가 없을 뿐 아니라 수입의 40분의 1을 내도록 돼 있는 규정도 모스크에 내는 게 아니라 자신의 지인에게 주는 것이다.
서 교수는 “이런 차이를 모른 채 우리 외교부에서 이란 이스라엘 터키를 제외한 아랍 국가와 교류할 때 ‘한-중동’이라고 표현했다가 한-아랍이라고 써 달라는 항의를 받기도 한다”고 말했다.
전시는 8월 31일까지. 관람시간은 오전 9시∼오후 6시. 수 토요일은 오후 9시까지, 일요일 공휴일은 오후 7시까지. 월요일 휴관. 어른 1만 원, 학생 9000원, 어린이 8000원. 02-793-2080, www.persia2008.com
윤완준 기자 zeitung@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