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사(山寺), 한국의 산지승원’ 7곳이 지난달 30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됐다. 이 사찰들은 1000년 넘는 역사를 이어오는 신앙·수도·생활 기능이 이어진 종합승원이자 각종 문화재가 가득한 문화유산의 보고다. 동아일보는 한국의 13번째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사찰 7곳의 아름다운 모습과 숨은 역사를 시리즈로 소개한다. 》
장맛비가 오락가락 내린 9일 경남 양산시 통도사. 입구에 들어서자 울창한 소나무 숲길이 가장 먼저 인사를 건넨다. ‘무풍한송로(舞風寒松路)’라는 이름처럼 바람이 춤추고 서늘한 소나무가 가득한 길. 시끌벅적한 바깥세상과 단절되는 듯한 오묘한 기분을 선사한다.
길의 끝자락에 다다르면 통도사에 시주한 이들의 이름을 새겨 넣은 바위 조각들이 오른쪽에 쌓여 있다. 쉽사리 지나치기 쉽지만, 단원 김홍도(金弘道·1745∼?)와 그의 스승인 김응환(金應煥)의 이름도 새겨져 있다. 역사 속 이름을 찾아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숲길을 지나 일주문을 건너 사천왕문 사이로 들어섰다. 통도사 전각과 영축산 전경이 한 눈에 들어온다. 통도사는 크게 상·중·하 노전으로 나뉜다. 646년 신라 자장율사가 창건한 뒤 고려와 조선시대를 거치며 지속적으로 중건·중수되면서 규모가 계속해서 커졌기 때문이다.
동서로 이어지는 이동 축을 따라 가장 먼저 하노전이 등장한다. 오른편에 위치한 극락보전에는 ‘반야용선(般若龍船)’이란 벽화가 그려져 있다. 승려와 백성이 배를 타고 극락세계로 떠나는 모습을 담았다. 자세히 보면, 뱃사람 가운데 한 명만 뒤를 돌아보고 있다. 속세에 미련이 남아 이승을 바라보는 것. 사찰은 이런 ‘숨은 코드’를 찾아보는 즐거움이 있다.
하노전의 중심 전각인 영산전(보물 제1826호)에는 석가모니의 일생을 그린 팔상도(보물 제1041호)가 걸려 있다. 통도사는 팔상도를 비롯해 불교회화 작품만 600여 점을 소장한 보물창고. 이날 동행한 문화재위원회 위원인 명법 스님은 “통도사에는 예부터 유명 화승(畵僧)들이 계보를 이을 정도로 문화·예술의 가치를 중시했던 사찰”이라고 설명했다.
본당에 들어서는 마지막 문인 불이문(不二門)을 지나면 사찰의 가운데 공간인 중노전이 등장한다. 여기엔 스님들이 실제 수행을 하는 공간인 ‘원통방(圓通房)’이 있다. 매일 오전 6시 통도사 스님들이 다같이 발우공양을 드리고, 경전 공부 등을 진행한다. 내부로 들어가 보니 사찰의 가장 큰 어른인 방장(方丈) 스님부터 막내 스님의 자리까지 벽면에 위치가 표시돼 있다.
명법 스님은 “일본의 산사들은 외형적 전통은 유지하고 있지만 승려들이 출퇴근을 하면서 생활 기능을 잃었고, 중국은 문화대혁명 등 굴곡진 현대사를 거치면서 전통 불교의 명맥이 끊기다시피 했다”며 “통도사는 10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전통적인 신앙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불교의 살아있는 역사를 보여주는 공간”이라고 말했다.
마지막 상노전으로 가면 통도사의 대표 문화재인 대웅전과 금강계단(국보 제290호)을 만날 수 있다. 통도사 대웅전은 다른 사찰의 중심 전각과 달리 불상이 없다. 부처의 진신사리(眞身舍利)를 모셔 놓은 금강계단을 바라볼 수 있게 한쪽 벽면을 뚫어놨기 때문이다. 사각형 2중 기단으로 구성된 금강계단은 소나무 숲과 대웅전에 둘러싸여 아늑하다. 볼록한 종 모양으로, 고대 인도의 부도와 같은 모습이다.
잠깐 발걸음과 숨소리를 멈췄다. 소나무 숲에선 딱따구리가 ‘똑똑똑’ 나무를 두드리는 소리가 들려왔다. 마침 정각마다 수행을 알리는 목탁소리도 함께 퍼져나갔다. 자연과 문화유산, 살아있는 신앙의 어울림을 한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는 곳. 세계유산의 품격을 지닌 통도사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