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8월의 저편 61…1925년 4월 7일(11)

  • 입력 2002년 7월 1일 17시 39분


《<지금까지의 줄거리> 마라톤 경기에 처음 출전한 유미리는 다리의 격통을 견디면서, 할아버지 우철의 목소리의 인도로 완주를 이룬다. ‘나보다 더 달리고 싶어하는 자가 내 안에서 뛰어나왔다.’ 1925년, 열두 살의 소년 우철은 남동생의 탄생을 맞는다. 우철의 아버지 용하는 갓난아기의 관상을 길하다고 점치나, 엄마 희향은 ‘거짓말’이라고 우철에게 말한다.》

우철은 짚단에서 짚을 네다섯 줄기 뽑아 세 번 꺽어 엉덩이를 닦았다. 짚까지 비에 젖어 있었다. 이런 식으로 내리면 아침까지 계속 내리겠지, 비. 부슬부슬 내리는 정도면 뛸 수 있지만 본격적으로 내리면 감기에 걸릴 수도 있다. 그만두자, 뛰는 건. 실컷 자고 배불리 먹고 학교에 가자. 그런데 엄마는 언제까지 아기와 누워 있어야 하는 걸까, 무리하게 일어나라 하고 싶지는 않지만 그런 밥상하고 일주일 동안 마주한다면 꽤나 괴롭겠다. 우철은 그렇게 생각하면서 장딴지에 힘을 주고 일어났다. 그 때 귓가에 아기 울음소리가 들린 듯하여 뒤를 돌아보았다. 아무도 없었다, 있을 리가 없다. 우철은 호롱불을 들고 맨발로 문을 밀었다. 불현 듯 애장터에 묻혀 있는 수용과 우선이 동생의 탄생을 기뻐하고 있을까, 란 생각이 들었다. 그 생각에 귀기울이면서 비속으로 걸어나왔다. 애장터, 어려서 죽은 아이들을 묻는 곳, 할매한테 물어보면 거기가 어딘지 가르쳐 줄까. 삶이 주어지지 않은 죽은 자들의 무덤, 흙을 소복이 쌓았을 뿐인 이름도 없는 무덤, 한밤에 강보에 쌓여 이 집을 떠난 두 동생, 아무도 그 이름을 불러주지 않는.

우철은 남동생의 탄생으로 집안이 어두워진 듯한 기분이 들었지만, 어두워진 것이 아니라 어둠이 도를 더한 것이라고, 아니 탄생이란 경사가 그 어둠을 부각시키고 있을 뿐 어둠 자체는 변하지 않는다고 생각을 바꿨다. 엄마와 아버지는 두 자식의 죽음을 기억하고 있을까. 수용은 7년 전에 죽었지만 우선은 3년 전이니까 그리 먼 옛날이 아니다. 그리고 개나리와 민들레, 진달래가 피어 있었으니까 역시 봄이었다. 겨우 사흘만에 없어진 죽은 아기의 얼굴과 겹쳐 보였는지도 모른다. 엄마는 아버지가 점친 동생의 관상이 거짓이라고 했는데, 그렇다면 아기의 관상이 흉하다는 것일까. 우철은 갓 태어난 동생의 얼굴을 떠올리려 했으나, 엄마의 사타구니에서 밀려나온 피투성이 얼굴밖에 떠오르지 않았다. 어서 이름을 짓지 않으면 두 동생이 손을 잡고 데리고 갈 것만 같았다. 태어나기 전에 이름이 준비돼 있지 않다니, 불길하다. 우철은 온 몸으로 비를 맞으면서 비를 거역하듯 걸었다. 그리고 자기도 모르게 기도하고 있었다. 수용. 우선. 수용. 우선. 이름을 읊조릴 뿐인 기도였다.

유미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