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서울대병원, 교수가 직접 응급실 진료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8월 31일 03시 00분


1일부터 응급실 전담교수제 도입, 인턴-레지던트 아닌 전문의가 초진
내과-외과 등 타과 협진교수도 임용… 진료 질 높이고 대기시간 단축 기대


최근 두통으로 서울대병원 응급실을 찾은 박모 씨(63). 박 씨를 진료한 인턴은 과거에 두통이 없었던 만큼 뇌 컴퓨터단층촬영(CT)이 필요하다고 응급의학과 전공의에게 보고했다. 20분 후 응급실로 온 이 전공의는 뇌 CT 결과 특별한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고 담당 응급의학과 교수에게 보고했다. 교수는 뇌척수액 검사를 지시했다. 그 결과 뇌출혈이 의심되자 전공의는 다시 신경외과 전공의에게 협진을 의뢰했다. 신경외과 전공의는 응급실을 찾아 박 씨를 진단한 뒤 신경외과 교수에게 보고했다. 신경외과 교수는 전화로 추가 검사와 입원을 지시했다.

현재 서울대병원을 비롯한 일반 대학병원 응급실의 일반적인 풍경이다. 하지만 9월부터 서울대병원 응급실에선 이런 모습을 볼 수 없게 된다. 서울대병원은 응급환자를 인턴이나 전공의가 아닌 교수가 직접 진료하는 ‘응급실 전담교수 진료시스템’을 9월 1일부터 도입한다고 30일 밝혔다. 응급의학 전문의의 초진과 응급실 전담 임상 교수의 협진이 본격 실시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응급실 진료의 질이 높아질 뿐 아니라 진료시간이 짧아지고 검사 비용도 줄어든다.


이를 위해 서울대병원은 응급환자 초진을 담당할 응급의학과 교수를 1명 충원하고 협진 교수로 내과 2명, 외과 1명, 신경외과 1명, 신경과 1명 등 모두 5명의 전담교수를 임용한다. 전담교수들은 주간에 응급실에 상주하고 야간엔 해당 진료과의 교수들이 협진을 한다. 현재 전담교수가 외래 없이 응급실에만 상주하는 대학병원은 국내에 없다. ‘서울대병원의 실험’이 성공하면 다른 대학병원의 응급진료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 교수는 “협진 교수가 즉각적으로 진단과 치료를 결정하는 톱다운(top down) 방식을 도입하면 촌각을 다루는 응급환자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환자들이 오랫동안 응급실에 대기하는 불편도 사라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서울대병원은 응급실 전담교수 진료시스템이 정착되면 ‘2-3-6-12 골든타임 응급진료’가 실현될 것으로 보고 있다. 환자 도착 △2시간 내 응급의학과 전문의 초진 △3시간 내 해당 진료과와의 협진 완료 △6시간 내 환자 진료 방향 결정 △12시간 내 응급실 퇴실 목표를 이루겠다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응급실에서 1∼3일을 대기하는 환자가 적지 않았다.

신 교수는 “응급실 전담교수 진료를 통해 응급실 전문의 초진율을 지난해 34%에서 올해 50%, 내년 9월까지 70%로 끌어올릴 계획”이라며 “해당 진료과 전문의와의 협진율도 지난해 20%에 그쳤지만 내년에는 70%까지 올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일각에선 응급실 전담교수 진료시스템이 대학병원의 중요한 기능인 전공의 교육 체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 않느냐는 우려도 나온다. 이에 서울대병원은 ‘응급진료팀제’를 적극 도입할 계획이다. 전담교수와 전공의, 인턴, 간호사, 응급구조사를 한 팀으로 묶어 응급환자 진료에 동시 투입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전공의와 인턴 교육이 소홀해지는 부작용을 막겠다는 얘기다.

서울대병원 김연수 진료부원장은 “대형병원의 응급실 과밀화 현상이 심각해 중증 응급환자가 신속한 응급처치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면서 “전담교수 진료시스템이 정착되면 권역응급센터로서 신속한 양질의 응급진료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진한 의학전문기자·의사 likeday@donga.com·조건희 기자
#서울대병원#응급실#진료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