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북한학과 유호열(柳浩烈) 교수는 “최근 미군 고위관계자에게서 ‘우리는 대화를 통한 평화적 해결이 아닌, 이른바 플랜 B에 대해서도 준비가 되어 있다’는 말을 들었다”며 “6자회담에 매달리지 않겠다는 의미로 들렸다”고 말했다.
▽북핵문제가 악화일로를 걷는 이유=북한과 미국의 타협 없는 충돌 때문이다. 미국의 해결방식에도 변화가 있었다.
윤덕민(尹德敏) 외교안보연구원 교수는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북한의 핵개발을 막으려고 했던 빌 클린턴 행정부에 비해 조지 W 부시 행정부는 레드라인을 명확히 하지 않았고, 해결을 서두르지 않았던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1994년 핵위기의 경우 위기가 최고조에 달했을 때 북한을 방문한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에게 당시 김일성(金日成) 주석이 ‘핵동결’ 의사를 표명해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었다. 북-미는 그해 10월 제네바 합의를 통해 북한의 핵 시설을 동결하는 대신 북한에 경수로를 제공하는 데 합의했다.
이와 관련해 통일부 당국자는 “현재는 북한에 강경파의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어 타협을 하는 대신 강경하게 밀어붙이는 분위기가 팽배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결국 안보리로 가는가=서울대 국제대학원 신성호(辛星昊) 교수는 “6자회담 재개의 심리적 마지노선인 6월을 지나면 6자회담 무용론은 대세가 될 것”이라며 현재의 북핵 국면에 대해 “절체절명의 위기상황”이라고 말했다.
외교통상부의 한 당국자도 “북-미가 기존의 입장을 변경할 가능성이 극히 희박하다는 점에서 협상에 의한 타결은 어렵다고 보는 것이 현실적”이라며 “유엔 안보리 회부 및 제재논의 등으로 인한 긴장 고조는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제네바 협상의 주역이었던 로버트 갈루치 미 조지타운대 국제대학원 학장은 최근 저서 ‘북핵 위기의 전말(Going Critical)’에서 “유엔 안보리를 통한 제재는 독립적인 대안이라기보다는 북한이 대화로 돌아오도록 하는 압력이며, 북한이 유엔 안보리 결의마저 무시할 경우 (군사적 행동을 포함한) 좀 더 강압적인 조치를 취하기 위한 명분의 축적이었다”고 말했다.
하태원 기자 taewon_ha@donga.com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